경제용어사전

유도만능 줄기세포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

수정란이나 난자를 사용하지 않고 피부 등 다 자란 체세포에 외래 유전자나 특정 단백질을 가해 줄기세포의 성질을 갖도록 유도한 세포. 배아 줄기세포처럼 모든 세포로 분화할 수 있고 분열능력에 한계가 없으면서도 환자 자신의 세포를 이용할 수 있어 `유도만능 줄기세포'라고도 한다.

2006년 일본의 신야 야마나카 박사가 최초로 분화된 세포로부터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생산했다. 그는 이 공로로 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다.

유도만능줄기세포는 환자 자신의 체세포로부터 줄기세포로 역분화돼 만들어졌기 때문에 "역분화 줄기세포"라고도 하며 필요한 사람에게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배아줄기세포와 거의 동일한 줄기세포의 특성을 나타낸다. 또 여성의 난자를 이용해야 하는 배아줄기세포와 달리 유도만능줄기세포는 환자의 피부세포나 혈구세포를 통해 제조되기 때문에 윤리적 논란을 피할 수 있다.

또 환자 자신의 세포로부터 만들어지기 때문에 면역거부반응도 극복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하지만 종양 발생 가능성이 크고 분화 효율이 떨어져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도 있다.

  • 유전자편집[genome editing]

    유전체 안의 특정한 DNA를 인식해 자르고 교정하는 기술. 특정 염기서열을 인지해 해당 부...

  • 인공지능진보협회[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AAI]

    사고와 지능행동시 작용하는 계산 메카니즘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를 높...

  • 인두제[capitation system]

    의료의 종류나 질에 관계없이 의사가 맡고 있는 환자 수에 따라 진료비를 지급하는 제도. ...

  • 역RP

    중앙은행의 공개시장운영 수단 중 하나다. 나라별로 정반대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