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유도만능 줄기세포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

수정란이나 난자를 사용하지 않고 피부 등 다 자란 체세포에 외래 유전자나 특정 단백질을 가해 줄기세포의 성질을 갖도록 유도한 세포. 배아 줄기세포처럼 모든 세포로 분화할 수 있고 분열능력에 한계가 없으면서도 환자 자신의 세포를 이용할 수 있어 `유도만능 줄기세포'라고도 한다.

2006년 일본의 신야 야마나카 박사가 최초로 분화된 세포로부터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생산했다. 그는 이 공로로 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다.

유도만능줄기세포는 환자 자신의 체세포로부터 줄기세포로 역분화돼 만들어졌기 때문에 "역분화 줄기세포"라고도 하며 필요한 사람에게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배아줄기세포와 거의 동일한 줄기세포의 특성을 나타낸다. 또 여성의 난자를 이용해야 하는 배아줄기세포와 달리 유도만능줄기세포는 환자의 피부세포나 혈구세포를 통해 제조되기 때문에 윤리적 논란을 피할 수 있다.

또 환자 자신의 세포로부터 만들어지기 때문에 면역거부반응도 극복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하지만 종양 발생 가능성이 크고 분화 효율이 떨어져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도 있다.

  • 암호모듈

    암호기술이 구현된 하드웨어(HW)ㆍ소프트웨어(SW)ㆍ펌웨어(FW) 혹은 이들이 결합된 제품...

  • 인공 광합성

    광촉매, 태양전지 등을 활용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뒤 고부가가치 화합물로 전환하...

  • 아이 캐춰[eye catcher]

    광고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소비자가 광고에 접할 때 시각에 강하게 호소되도록 고려한 것을 말...

  • 양곡관리특별회계

    양곡관리법 등에 따라 정부가 쌀 수매를 목적으로 운영하는 특별회계로 1950년 도입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