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무의결권주

[nonvoting stock]

주식을 보유하면 크게 두 가지 권리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첫째는 배당을 받을 수 있고 두번째로는 주주총회에 나가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된다. 이중 의결권을 포기하는 대신 배당금을 더 많이 받기를 원하는 투자자를 위해 특별히 발행된 주식을 무의결권주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86년부터 1989년까지의 증시활황기에 무의결권주가 대량 발행됐다. 의결권이 없는 대가로 보통주보다 1% 포인트 더 높은 배당률을 적용하는 게 일반적인 조건이었다.

당시 주식시장이 과열양상을 보임에 따라 주식공급량을 늘리려는 정책에 맞물려 상장기업의 무의결권주 발행이 성행했다. 사실상 기업의 경영권을 쥐고 있는 대주주 입장에서는 경영권 안정을 도모하면서도 주식시장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이점을 누리려고 무의결권주 발행을 선호했다. 그러나 무의결권주는 기업의 소유구조분산을 저해하는 결과를 낳는다.

  • 무역기술장벽협정[WTO Technical Barriers to Trade Agreement, WTO/TBT Agreement]

    WTO회원국 간의 기술규정, 표준 및 적합성평가절차가 국제교역에 불필요한 장애를 초래하지 ...

  • 미디어플로[MediaFLO]

    2004년 퀄컴이 개발한 차세대 이동휴대방송 기술. 미디어플로는 유럽에서 개발된 이동휴대방...

  • 목표전환형펀드

    국내외 주식에 투자해 사전에 약속한 목표 수익을 거두면 투자자의 특별한 추가 의사표시 없이...

  • 미결제약정[open interest]

    선물·옵션시장에 참가하는 투자자가 선물·옵션계약을 사거나 판 뒤 이를 반대매매(전매·환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