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대차대조표 불황

[balance sheet recession]

가계 빚이 많아 정부가 경기 부양책을 내놓아도 소비나 투자로 이어지지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자산가격의 하락으로 기업이나 가계의 부채 부담이 커졌을 경우 경제 주체는 차입금을 최우선적으로 상환하기 때문이다.

이 개념은‘잃어버린 10년’으로 불리는 1990년대 일본의 장기 불황을 설명하는 경제학 이론에서 나온 것으로 리처드 쿠 일본 노무라종합연구소 수석 연구원이 이 용어를 만들고 이론을 정립했다.

그 이후 세계 각국의 불황을 설명하는 일반 용어가 됐다. 미국에선 벤 버냉키 전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이 2007년 금융위기 이후 몇 차례 언급하면서 주목받았다.

  • 드러그스토어[drug store]

    의약품, 화장품, 건강보조식품, 생활용품, 미용제품 등 다양한 품목을 한 곳에서 판매하는 ...

  • 디버전스 마케팅[divergence marketing]

    소비자의 입맛에 맞춰 제품을 다양하게 내놓는 마케팅. 여러기능을 모아놓는 대신 특정기능만 ...

  • 단순주가평균[simple arithmetic stock price average]

    해당 주식 종목의 1주당 주식가격 합계를 해당 주식종목수로 나눈 가격을 말한다. 계산하기 ...

  • 달러 인버스 ETF

    달러가 하락할 때 수익이 발생하는 상장지수펀드(ETF). TIGER 미국달러선물인버스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