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마진 콜

[margin call]

선물계약의 예치증거금이나 펀드의 투자원금에 손실이 발생해 추가 증거금을 요청하는 것을 말한다. 증거금이 모자랄 경우 증거금의 부족분을 보전하라는 전화(Call)를 받는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투자자들뿐 아니라 돈을 빌려준 금융회사들도 마진 콜을 받을 수 있다.

마진콜이 걸리게 되면 투자자는 신속히 증거금을 채워야 계약이 계속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수익률이 떨어져 펀드들이 마진 콜을 당할 때는 증거금을 보전해야 시장으로부터 신뢰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마진 콜이 발생하면 반드시 디레버리지(de-leverage) 현상으로 연결된다.

이 과정에서 투자자산 회수에 따른 자산가격 하락과 유동성 확보로 인한 유동성 경색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마진 콜에 응하지 못할 경우 거래소는 자동반대매매(청산)를 통해 거래계약 관계를 종결시킨다. 원래는 선물거래에서 사용되는 용어였으나 펀드 등에도 일반화됐다.

  • 메일서버 등록제[Sender Policy Framework, SPF]

    이메일 발송자의 서버를 도메인 네임서버 (DNS)에 등록시킨 후, 수신자의 서버에 메일이 ...

  • 묶음 상품[bundling service]

    서로 다른 IT 서비스를 하나로 묶어 판매하는 패키지 상품을 말한다.

  • 모범거래기준

    공정거래위원회가 유제품, 편의점 등의 업체와 종사자들 간 공정한 거래 환경을 조성한다는 명...

  • 매출채권 팩토링

    금융기관들이 기업으로부터 상업어음이나 외상매출증서 등 매출채권을 매입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