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마진 콜

[margin call]

선물계약의 예치증거금이나 펀드의 투자원금에 손실이 발생해 추가 증거금을 요청하는 것을 말한다. 증거금이 모자랄 경우 증거금의 부족분을 보전하라는 전화(Call)를 받는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투자자들뿐 아니라 돈을 빌려준 금융회사들도 마진 콜을 받을 수 있다.

마진콜이 걸리게 되면 투자자는 신속히 증거금을 채워야 계약이 계속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수익률이 떨어져 펀드들이 마진 콜을 당할 때는 증거금을 보전해야 시장으로부터 신뢰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마진 콜이 발생하면 반드시 디레버리지(de-leverage) 현상으로 연결된다.

이 과정에서 투자자산 회수에 따른 자산가격 하락과 유동성 확보로 인한 유동성 경색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마진 콜에 응하지 못할 경우 거래소는 자동반대매매(청산)를 통해 거래계약 관계를 종결시킨다. 원래는 선물거래에서 사용되는 용어였으나 펀드 등에도 일반화됐다.

  • 무량판[flat slab structure]

    무량판은 대들보 없이 기둥이 바로 슬래브(콘크리트 천장)를 지지하는 구조다. 일반적...

  • 맥스터[MACSTOR, modular air cooled canister storage]

    가압중수형 원자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사용후 핵연료를 임시 저장하는 조밀 건식 저장시설을 말...

  • 미디어 멀티태스킹[media multitasking]

    스마트폰, 컴퓨터, TV 등 여러 미디어를 동시에 쓰는 것을 말한다. TV를 보다가 궁금한...

  • 민간 군사회사[private military company, PMC]

    전투와 무기를 제외한 물품이나 용역을 군대에 공급해주는 민간 군사기업. 군사 강국인 미국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