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수직농장

[vertical farm]

1999년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의 딕슨 데스포미어 교수가 미래의 식량난을 해결하기 위해 제시한 농경시스템. 수십층 높이의 건물 꼭대기에 태양광 발전 시설을 갖추고 각 층을 농경지로 활용한다는 개념이다.

건물대신 컨터이너 박스를 활용하기도 한다.컨테이너 내에서 각종 작물을 심은 선반을 수직으로 쌓아 식물을 키운다.

잘 갖추어진 수경재배시스템을 통해 농작물을 재배하기 때문에 병충해에서 자유로울 수 있고 생산성 또한 높다. 데스포미어 박사는 수직 농장의 수확량이 같은 넓이의 전통적인 농경지보다 최대 30배가량 많다고 한다. '마천루농장(skyscraper farm)'이라고도 한다.

  • 시장화 테스트

    일본정부가 공공 서비스 담당자로 공공 기관과 민간 기업 중 어느 쪽이 적임인지를 입찰을 통...

  • 세계프랜차이즈협의회[World Franchise Council, WFC]

    세계 프랜차이즈 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우호적인 협력, 정보 교환 등을 목적으로 1994년...

  • 시장금리부 수시입출금식예금[money market depositary account., MMDA]

    은행에서 취급하는 시장금리부 수시입출금식예금의 약어로 97년 7월 선보인 상품이다. 돈을 ...

  • 스위트 스폿[sweet spot]

    원래 스포츠 용어로 클럽, 라켓, 배트 등에서 공이 맞으면 가장 잘 날아가는 부분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