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무등록 공장

 

공장 건축면적이 2백㎡ 이상인 등록의무대상 공장임에도 ‘공업배치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적법한 등록절차를 밟지 않은 공장. 부가가치세법에 의한 사업자 등록은 돼 있는 상태여서 완전한 ‘불법공장’은 아니다. 정상적으로 등록이 되기 위해서는 토지 및 건축물 용도, 업종 및 환경 등 여러 요소가 고려대상이 되는데 영세 중소기업인들은 이같은 제약요인을 기피해 무등록 상태에서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정부는 국내산업 활성화 및 중소기업육성 등의 차원에서 1990년과 1991년 이들 무등록 공장에 대해 3년 이내에 적정한 지역으로 이전(이전조건부 등록공장)하거나, 현지에서 위법사항을 개선(개선조건부 등록공장)하는 조건으로 일부 무등록 공장을 잠정 인정하는 조치를 취했다.

  • 매크로 프로그램

    한 번 입력으로 특정 작업을 반복할 수 있도록 제작된 프로그램. 매크로를 사용하면 반복적인...

  • 매각물건명세서

    경매법원이 입찰예정자들에게 제공할 목적으로 매각대상물건의 현황과 권리관계 및 감정평가액 등...

  • 무선호출기[pager]

    무선을 사용해서 호출음이나 데이터를 보내 개인을 호출하거나 정보를 보내는 기기. 이른바 '...

  • 모기지보험[Mortgage Insurance]

    주택대출을 받은 고객이 대출금을 갚지 못할경우 보험사가 대신 갚아주는 상품. 보험사는 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