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신용부도스와프

[Credit Default Swap, CDS]

채권발행사가 부도가 날 경우 원금을 상환 받을 수 있도록 한 보험 성격의 신용파생상품.

예를 들어 A은행은 B기업에 10억원을 대출하면서 B기업의 부도를 대비, C금융업체와 CDS 거래를 할 수 있다. 즉 A은행은 연간 일정 수수료를 C금융업체에 지불하고, 대신 C금융업체는 B기업이 부도를 냈을 때 10억원을 A은행에 갚아 주기로 하는 계약이다.

B기업은 그만큼 자금 융통이 쉬워지고 A은행은 대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C금융업체는 수수료 수익을 챙긴다. 반면 C금융업체가 부실화되면 A은행까지 연쇄적으로 부실화되는 맹점이 있다.

그런 보증의 대가로 채권자가 C금융업체에 지불하는 수수료가 CDS 프리미엄이다. 즉, 채무보증에 대한 보험료가 CDS프리미엄이다.

관련어

  • 손해보험

    계약자가 신체상의 손해나 재물 손해가 났을 때 그 손해를 보상해주는 보험. 손해가 난 만큼...

  • 신기후변화협약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구분 없이 모든 국가에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부...

  • 시장접근[market access]

    외국제품이나 서비스 및 이의 공급자가 국내시장에서 국내제품 및 제품공급자와 동등한 대우를 ...

  • 사업조정제도

    대기업이 기존 중소기업이 영위하고 있는 사업을 인수·개시·확장함으로써 중소기업의 경영에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