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표적항암제

[targeted cancer drugs]

투여 후 정상세포까지 공격하는 기존의 항암제와 달리 발암 과정의 특정 표적인자만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치료제를 말한다. 정상세포를 공격하지 않기 때문에 환자에게 주어지는 고통은 기존 항암제보다 작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암을 완치시키기 어려울 경우라도 표적항암제를 통해 암의 진행을 늦추면서 생존기간을 늘릴 수 있다.

21세기에 소개된 글리벡이 원조급 표적치료제로 간주되며 실질적으로 표적치료라는 용어를 탄생시킨 장본인이이기도 하다.

관련어

  •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파견근로자의 고용안정과 복지증진을 도모하고 인력수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법률로 줄여서 "...

  • 포항4세대방사광가속기

    2013년부터 가동한 경주양성자가속이에 이어 2017년부터 가동을 시작한 우리나라의 두번째...

  • 피치[Fitch Ratings]

    스탠더드앤드푸어스(Standard & Poor''s)·무디스인베스터스서비스(Moody''s...

  • 펨토과학[Femtoscience]

    10억분의 1m 크기를 다루는 나노 시대 이후를 지칭하는 용어. 펨토과학은 1000조분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