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핫머니

[hot money]

각국 간의 단기 금리의 차이 또는 환율의 차이에 의한 이익을 목적으로 국제 금융 시장을 이동하는 매우 불안정한 단기 자금을 말한다. 국내 시장에서 단기적인 차익을 따라 이동하는 단기적인 투기 자금도 핫머니라고 부른다.

1930년대 각국이 금본위제를 이탈함에 따라 외환 시장의 변동이 심해지자 이러한 자본 이동이 발생했고 1935년 프랭클린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이 이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핫머니에는 각국의 단기 금리의 차이와 환율의 차이에 따른 투기적인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것과 국내 통화의 불안을 피하기 위한 자본 도피 등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핫머니의 특징은 자금 이동이 일시에 대량으로 이뤄진다는 점과 자금이 유동적인 형태를 취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단기 자금의 이동은 각국의 외화 수급, 물가, 주가 원자재 가격 등의 급등락을 초래해 국가 경제의 균형을 파괴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1백명 미만의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모아 금리와 환율 예상을 교묘히 조합한 도박성 파생상품에 투자하는 헤지펀드가 대표적이다.

  • 한계세액공제제

    연간매출액 1억5천만원 미만의 개인 일반사업자에 대해 부가가치세를 일부 감면해주는 제도. ...

  • 협회회의[association meeting]

    아이디어 교환,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 토론, 정보교환, 사업 등을 목적으로 최소 반일(4...

  • 효율임금이론[efficiency wage theory]

    시장균형 임금보다 높은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고 보는 이론. 생산성...

  • 핵심설명서제도

    대출, 펀드 등 금융상품의 주요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설명서를 만들고 이를 제공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