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주택구입능력지수

[House Affordability Index, HAI, K-HAI]

중간소득 근로자가 중간가격대 아파트를 구입할 때 대출상환능력을 나타내는 지수. 주택을 구입하기 위해 표준 조건의 대출을 이용할 경우, 월소득으로 원리금을 상환할 수 있는가를 나타낸다. 이 지표가 100을 넘으면 상환이 쉽고, 100 미만이면 원리금 상환이 어렵다는 의미다. HAI = 연평균 가구소득 ÷ 대출 상환요구소득 × 100 (기준치 100). 주택구입능력지수에는 ‘K-HAI’라는 지표도 있다. 이는 주택금융공사가 2008년도에 캐나다 방식의 HAI(Housing Affordability Index) 개념을 적용,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개발한 지수이다. HAI와 달리 수치가 높을수록 주택구입에 대한 부담이 크다는 것을 뜻한다.

  • 직접주문전용선[direct market access, DMA]

    증권사 딜러의 주문처리 작업을 거치지 않고 증권사 시스템을 통해 바로 한국거래소로 주문이 ...

  • 전세가율

    주택 매매가 대비 전셋값의 비율

  • 주식옵션부 상환채[equity option redemption bond]

    전환사채와 보통사채의 중간형태로서 채권만기시 발행자가 주식으로 전환해주거나 현금으로 상환할...

  • 지역종합개발지구

    지방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산업ㆍ유통ㆍ연구ㆍ관광ㆍ주거ㆍ업무 등 다양한 단지와 도로 등 기반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