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구입능력지수
[House Affordability Index, HAI, K-HAI]중간소득 근로자가 중간가격대 아파트를 구입할 때 대출상환능력을 나타내는 지수. 주택을 구입하기 위해 표준 조건의 대출을 이용할 경우, 월소득으로 원리금을 상환할 수 있는가를 나타낸다. 이 지표가 100을 넘으면 상환이 쉽고, 100 미만이면 원리금 상환이 어렵다는 의미다. HAI = 연평균 가구소득 ÷ 대출 상환요구소득 × 100 (기준치 100). 주택구입능력지수에는 ‘K-HAI’라는 지표도 있다. 이는 주택금융공사가 2008년도에 캐나다 방식의 HAI(Housing Affordability Index) 개념을 적용,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개발한 지수이다. HAI와 달리 수치가 높을수록 주택구입에 대한 부담이 크다는 것을 뜻한다.
-
잠재 GNP[potential GNP]
잠재 GNP란 실제 GNP(actual GNP)에 대응되는 개념으로서 노동과 자본 등의 생...
-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제도
변동성이 큰 재생에너지의 발전량을 예측해 정확도에 따라 정산금을 지급하는 제도. 분산...
-
자료상
사업자등록을 해놓고 가짜 세금계산서를 무단으로 발행, 그 대가로 일정 수수료를 챙기는 사람...
-
지역자원시설세
지역 자원을 보호하고 안전관리·환경개선 사업 등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기 위해 부과하는 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