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명의신탁

 

부동산, 유가증권과 같은 재산을 친척 등 제3자의 명의를 빌려 등기부에 등재한 후 실질적인 소유권을 행사하는 것을 말한다. 차명계좌를 통해 재산을 관리하는 것이다.

종중재산의 위탁관리 등을 인정하기 위해 시작된 이 제도는 우리나라에만 있는 당사자간의 계약관행이었지만 1990년대 부동산등기특별조치법과 금융실명제법이 제정되면서 금지됐다.

그러나 명의신탁은 당사자가 자백하거나 수사기관에서 밝혀내지 않는 한 범법사실을 입증할 수 없기 때문에 부동산 투기, 탈세, 재산은폐 등에 악용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부동산이나 유가증권을 등기할 때 실질 소유권 여부를 법원이 판단하는 ‘등기 실질주의 원칙’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 멤브레인[membrane]

    액체 또는 기체의 특정성분을 선별적으로 통과시켜 혼합물을 분리할 수 있는 액체막 또는 고체...

  • 매칭 숍[matching shop]

    타깃 고객이 비슷한 제품들을 같은 층, 같은 공간에 전시하여 시너지 효과를 노리는 마케팅 ...

  • 목표전환형펀드

    국내외 주식에 투자해 사전에 약속한 목표 수익을 거두면 투자자의 특별한 추가 의사표시 없이...

  • 모집[placing]

    일반적으로는 불특정 다수에게 동일한 조건으로 유가증권의 취득청약을 권유하는 것을 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