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커버드 본드

[covered bond]

은행등 금융회사가 주택담보대출(모기지), 국·공채 등 우량자산을 담보로 발행하는 담보부채권의 하나다. 커버드 본드의 특징은 투자자가 금융회사 등 커버드 본드 발행자에 대해 소구권을 가지며 발행자가 파산할 경우 담보자산에 대한 우선변제권도 갖는다는 점이다.

대출자산을 담보로 발행되는 자산유동화증권(ABS·Asset Backed Securities)이나 모기지를 담보로 발행되는 주택저당증권(MBS·Mortgage Backed Securities)와 비교해 담보자산뿐 아니라 발행 금융사의 상환의무까지 부여해 안정성을 높인 게 특징이다. 따라서 발행 은행이 파산하더라도 은행의 담보자산에 대해 우선적으로 변제받을 수 있는 권리가 부여돼 안정적이며 자금조달 비용이 낮다는 장점이 있다. 그래서 이중상환청구권(dual recourse)부 채권이라고도 한다.

독일, 프랑스, 영국 등 유럽은행들이 장기 자금 조달수단으로 활발히 이용하고 있다.

  • 큐브셋[CubeSat]

    초소형 위성을 말한다. 가로·세로 각각 10㎝ 크기인 정육면체부터 가로 10㎝, 세로 30...

  • 캡티브 마켓[captive market]

    캡티브 마켓은 소비자들이 특정 공급업체에서만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는 선택권이 제...

  • 컨소시엄[Consortium]

    국제차관단. 여러 나라가 공동으로 차관을 공영하는 형식을 말한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로는...

  • 카멀라노믹스[Kamalanomics]

    2024년 11월 5일에 예정된 미국 대통령선거의 민주당 대선후보인 카멀라 해리스의 이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