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개인순저축률

 

개인순저축률은 개인 부문의 순처분 가능소득에 대한 순저축 비율을 의미한다. 즉 세금 등을 제외하고 개인이 쓸 수 있는 모든 소득(순처분 가능소득) 가운데 재화와 서비스 구입에 쓰고 남은 금액(순저축)의 비율이다. 국민소득 계정상 ''개인''에는 일반적인 가계뿐 아니라 자영업 형태를 포함하는 민간 비(非)법인 기업과 소비자단체, 노동조합, 종교단체 등 가계에 봉사하는 비(非)영리 단체도 포함된다.

최근엔 기존 ''저축''이란 정의가 실물생산 위주의 경제에 적합한 개념으로 금융시장이 발달하고 연구개발(R&D) 및 교육을 중시하는 요즘의 지식기반 경제에는 부적합하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교육에 대한 지출의 경우 광의의 ''저축''으로 볼 수 있다는 주장이다.

  • 기업의 사회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뜻한다. 기업이 생산 및 영업을 통한 이윤 창출활동을 할 때 환경 보...

  • 국제부흥개발은행[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IBRD]

    개발도상국의 투자자금조달을 목적으로 하는 국제은행이며 세계의 은행이다. 1944년 브레턴우...

  • 기업구조조정리츠[Corporate Restructuring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CR-REITs]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주식을 발행하여 자금을 모집하여 구조조정대상 기업의 부동산에 투자해 얻...

  • 교토의정서[Kyoto Protocol to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교토의정서는 1992년 6월 리우 유엔환경회의에서 채택된 기후변화협약(CCC)을 이행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