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순저축률
개인순저축률은 개인 부문의 순처분 가능소득에 대한 순저축 비율을 의미한다. 즉 세금 등을 제외하고 개인이 쓸 수 있는 모든 소득(순처분 가능소득) 가운데 재화와 서비스 구입에 쓰고 남은 금액(순저축)의 비율이다. 국민소득 계정상 ''개인''에는 일반적인 가계뿐 아니라 자영업 형태를 포함하는 민간 비(非)법인 기업과 소비자단체, 노동조합, 종교단체 등 가계에 봉사하는 비(非)영리 단체도 포함된다.
최근엔 기존 ''저축''이란 정의가 실물생산 위주의 경제에 적합한 개념으로 금융시장이 발달하고 연구개발(R&D) 및 교육을 중시하는 요즘의 지식기반 경제에는 부적합하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교육에 대한 지출의 경우 광의의 ''저축''으로 볼 수 있다는 주장이다.
-
공학교육인증제
한국공학교육인증원(ABEEK)에서 발급하는 공과대학의 교육에 대한 일종의 품질보증제로 우리...
-
기상공정[gas phase process]
기체로 이루어져 있는 원료물질에 촉매를 분사시킴으로써 에틸렌을 중합하여 폴리에틸렌을 합성하...
-
금액가중수익률[amount-weighted yield]
투자자가 투자한 금액에 대한 수익률. 기간별 투자 수익금 평균으로 수익률을 평가한다. ...
-
광대역 전력선 통신[broadband over power line, BPL]
미국에서 추진 중인 전력선을 이용한 광대역 통신 제공 서비스를 말한다. PLC(전력선 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