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강제경매

 

일반 채권자가 채권을 증명하는 판결문과 같은 서류를 법원에 제출하여 부동산을 처분해달라고 해서 부쳐진 경매.

경매신청서에 채권자의 성명과 주소, 채무자의 성명과 주소, 청구금액을 기재한 후 경매에 넘길 부동산 목록과 함께 경매의 원인이 된 채권을 집행할 수 있는 채무명의(판결정본 등)를 제출해야 한다. 반면, 임의경매의 경우 채무명의 대신에 저당권설정계약서(근저당권설정계약서)를 제출하면 된다.
.

  • 근로자재해보상책임보험[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근로자가 업무상 부상, 질병 또는 사망하였을 경우 근로기준법상 사용자의 재해보상책임을 담보...

  • 기준시가

    부동산을 사고 팔거나 상속 · 증여 때 실제 거래가격을 확인할 수 없을 경우 세금을 매기는...

  • 개축

    기존 건축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철거하고 그 대지 안에 종전과 동일한 규모의 범위 안에서 ...

  • 국제재무분석사[Chartered Financial Analyst, CFA]

    미국 국제재무분석사를 말한다. 증권금융, 재무분석 및 투자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