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래퍼 곡선

[Laffer curve]

세율과 정부의 조세 수입 간의 관계를 설명한 곡선으로, 미국의 경제학자 아서 래퍼(Arthur Laffer)에 의해 주창됐다. 래퍼는 한 나라의 세율이 적정 수준을 넘어 비표준 지대에 놓여 있을 때에는 오히려 세율을 낮춰 주는 게 경제 주체들에게 창의력과 경제 의욕을 고취해 경기와 세수를 동시에 회복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래퍼는 일정 수준의 세율까지는 정부의 조세 수입이 증가하지만, 세율이 적정수준(최적조세율)을 초과하면 경제주체들의 경제활동 의욕이 감소해 조세 수입도 감소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므로 이때 세율을 낮춤으로써 세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1980년대 미국 레이건 행정부의 조세인하의 이론적 근거가 되었다. 하지만 이로 인해 미국 정부는 거대한 재정적자를 안게 되는 부작용을 겪기도 했다.

  • 로스쿨[law school]

    대학졸업자들을 대상으로 3년간 법학 교육을 실시, 변호사로 배출시키는 대학원을 말한다. 미...

  • 러프 패치[rough patch]

    경기 회복기의 일시적 침체를 뜻하는 ''소프트 패치(soft patch)''보다 상태가 더...

  • 랩 어카운트[wrap account]

    주식, 채권, 펀드, 파생 상품 등 여러 상품을 한곳에 모아 관리하는 자산관리계좌. 증권사...

  • 리치 노마드[rich nomad]

    '리치노마드'는 부유함을 뜻하는 '리치'(rich)와 유목민을 뜻하는 '노마드'(nom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