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수거래
전체 주식매입대금의 일부(통상적으로 40% 이상)에 해당하는 위탁증거금과 주식을 담보로 주식을 외상으로 사는 제도. 이틀 뒤인 결제일까지 외상으로 산 나머지 금액에 해당하는 돈을 갚지 않으면 증권사가 반대매매를 통해 계좌에 있는 주식을 처분한다.
월요일에 미수거래를 한 후 수요일까지 돈을 입금하지 않으면 목요일 아침 증권사가 주식을 시장가로 매각해 대출금을 회수한다.
위탁매매 미수금이란 미수거래를 하고 만기인 3거래일까지 상환되지 않은 금액이다.
미수거래는 증거금율 설정 등 간단한 절차를 거치면 최대 5배 레버리지를 일으킬 수 있다. CFD계좌(2.5배)의 두 배에 달한다. 투자 원금 20만원으로 100만원어치 주식을 살 수 있다. 고객 등급과 종목마다 증거금율이 다른데, 통상 20~40% 증거금율이 적용된다.
레버리지 한도가 높은 만큼 리스크도 크다. 주가가 급락한 상태로 반대매매가 이뤄질 경우 투자원금을 넘어선 손실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른바 ‘깡통계좌’가 되는 것이다.
-
미국 예외주의[American Exceptionalism]
미국이 세계를 이끄는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하는 세계최고의 국가라는 뜻의 용어. 19세기 프...
-
밉스[millions of instructions per second, MIPS]
컴퓨터의 연산속도를 표시하는 단위. 중앙처리장치(CPU)가 1초당 100만번의 명령을 실행...
-
마이크로 미디어
온라인 상에서 개인이 만드는 사용자 제작콘텐츠(UCC), 블로그, 미니홈피 등의 개인 매체...
-
미스터리 쇼핑[mystery shopping]
조사원이 손님으로 가장하고 해당 매장의 고객서비스를 평가하는 행위. 암행평가, CS 모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