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미수거래

 

전체 주식매입대금의 일부(통상적으로 40% 이상)에 해당하는 위탁증거금과 주식을 담보로 주식을 외상으로 사는 제도. 이틀 뒤인 결제일까지 외상으로 산 나머지 금액에 해당하는 돈을 갚지 않으면 증권사가 반대매매를 통해 계좌에 있는 주식을 처분한다.
월요일에 미수거래를 한 후 수요일까지 돈을 입금하지 않으면 목요일 아침 증권사가 주식을 시장가로 매각해 대출금을 회수한다.

위탁매매 미수금이란 미수거래를 하고 만기인 3거래일까지 상환되지 않은 금액이다.

미수거래는 증거금율 설정 등 간단한 절차를 거치면 최대 5배 레버리지를 일으킬 수 있다. CFD계좌(2.5배)의 두 배에 달한다. 투자 원금 20만원으로 100만원어치 주식을 살 수 있다. 고객 등급과 종목마다 증거금율이 다른데, 통상 20~40% 증거금율이 적용된다.

레버리지 한도가 높은 만큼 리스크도 크다. 주가가 급락한 상태로 반대매매가 이뤄질 경우 투자원금을 넘어선 손실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른바 ‘깡통계좌’가 되는 것이다.

  • 무방향성 전기강판[Non-oriented electrical steel, NO]

    압연 방향과 기타 방향에 균일한 자기 특성을 나타내는 전기강판. 보증 철손 기준에 따...

  • 마드리드협정[Madrid Agreement]

    산업재산권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파리협약에 근거한 특별협정으로 1891년, 마드리드에서 채택...

  • 마이너스 금리 채권[negative yield bonds]

    만기시에 이자를 받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자를 떼고 원금을 지급하는 채권. 즉 현재 채권...

  • 무선응용통신규약[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AP]

    왑(WAP)은 휴대폰, PDA와 같은 무선기기로 전자우편, 웹, 뉴스 등 인터넷서비스를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