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환헤지

[FOREX Hedge]

환리스크 (환율 변동으로 생길수 있는 손실위험)을 회피하기(hedge) 위한 행위를 뜻한다. 미래 매매환율을 현재 수준으로 미리 고정하는 거래 방식인 셈이다.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선물환''이다. 수출업체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은 선물환을 매도하는 것이고 수입업체들은 선물환을 매입하는 것이다.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통화선물을 이용한 헤지도 가능한데 통화선물은 규격화된 상품이므로 금액이나 만기 등에서 다양한 업체들의 요구에도 부응하기 힘들어서 실제로는 선물환을 많이 사용한다.

통화옵션을 이용한 헤지도 다양한데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키코 옵션도 환헤지의 일종이다. 반면에 환차익을 얻기 위해 환헤지를 하지 않는 것을 ‘환노출’이라고 한다.

  • 활력 곡선[vitality curve]

    잭 웰치 전 GE 회장이 사용한 인사 시스템이다. 활력 곡선을 이용해 조직 구성원을 평가 ...

  • 회계감사감리

    외부감사인(회계법인)이 기업의 회계감사를 올바르게 했는지 여부를 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결...

  • 하이퍼 인플레이션[hyper inflation]

    물가상승이 통제를 벗어난 상태로 수백퍼센트의 인플레이션율을 기록하는 상황을 말한다. 하이퍼...

  • 하이브리드 리튬메탈 배터리

    미국의 전기차용 배터리 개발 기업 SES가 2021년 11월 3~4일 미국과 한국, 중국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