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펀드자본주의

 

펀드 또는 기관투자가가 기업 경영과 금융시장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자본주의의 새로운 형태를 말한다. 주주 총회에서 기관의 의결권 행사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새로운 권력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는 기업의 주요 경영사항을 결정하는 . 미국의 경우 1974년 제정된 퇴직소득보장법(ERISA)이 연기금 관리자에게 수탁자로의 선관(善管)의무를 부여해 기업을 감시하고 직접의결권을 행사하도록 요구하면서 빠르게 확산됐다. 이 용어는 미국의 고든 클라크 옥스퍼드대 교수가 처음으로 사용했다. 그는 피터 드러커 클레이몬트대 교수의 ''연기금 사회주의(pension fund socialism)''는 자본주의 발전의 4번째 단계에 해당한다고 지적하고, 21세기는 자본주의의 5번째 단계를 경험할 것이라고 예측한 바 있다.

  • 포서드 시스템[Four third system]

    디지털카메라의 특성ㆍ장점을 충분히 살리기 위해 새롭게 설계ㆍ개발된 디지털 일안레프카메라 시...

  • 펨테크[femtech]

    펨테크(femtech)는 `여성(female)’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 플립 칩[flip chip]

    메모리 칩을 기판에 탑재할 때 금속선(와이어)를 이용하는 기존의 방식대신 범프 볼(Bump...

  • 플릭사비[Flixabi]

    삼성바이오에피스가 2016년 8월 유럽에 출시한 레미케이드의 바이오시밀러다. 레미케이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