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소득대체율

[Retirement income replacement rate]

연금액이 개인의 생애평균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 연금가입기간 중 평균소득을 현재가치로 환산한 금액대비 연금지급액이다.

월연금 수령액을 연금 가입기간의 월평균 소득으로 나눠 구한다. 연금의 보장성을 보여주는 지표이며, 국민연금은 40년을 기준으로 소득 대체율을 정한다.

소득대체비율이 50%이면 연금액이 연금 가입기간 평균 소득의 절반 정도 된다는 의미다.

OECD는 안정적인 노후를 위한 적정 소득대체율을 65∼75%로 권고한다.

2023년 7월 11일 국제보험협회연맹(GFIA)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연금 소득대체율은 47%에 불과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권고치 대비 20%포인트 이상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상품별로 보면 국민연금이 2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퇴직연금이 12%, 개인연금이 9%였다. 국민연금 소득대체율은 OECD 권고 수치(25∼30%)에 부합했으나 퇴직연금(20∼30%), 개인연금(10∼15%)이 권고에 미달했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이 81.3%로 가장 높았고, 프랑스가 60.2%로 뒤를 이었다. 독일(55.7%)과 일본(55.4%)이 50%를 넘겼고 영국도 49%로 한국보다 높았다.

관련어

  • 세종시

    2012년 7월1일 출범한 세종시는 정부 직할의 17번째 광역자치단체다. 관할 구역은 연기...

  • 소셜 덤핑[social dumping]

    외국기업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기업경영에 필요한 각종 비용을 개방도상국보다 오히려 싸게 ...

  • 스완족[strong women achiever, no spouse, SWAN]

    직장과 경제력을 바탕으로 자기계발에 투자하고 독신 생활을 즐기는 30대 여성을 칭하는 골드...

  • 시공

    공사가 설계도면대로 진행되고 있는 지 등 시공부분에 대해서만 관리·감독을 맡기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