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베이징 컨센서스

[Beijing Consensus]

중국이 주도하는 ‘권위주의 체제하 시장 경제 발전’을 일컫는 말. 정치적 자유화를 강요하지 않으면서 시장경제적 요소를 최대한 도입하는 중국식 발전국가 모델을 뜻한다. 정부 주도의 점진적인 경제개혁과 균형발전 등의 내용을 강조한다.

2004년 골드만 삭스의 고문이며 중국 칭화(淸華)대 겸직교수인 레이모(Joshua Cooper Ramo)가 시장원리 확대와 탈규제, 재정긴축을 핵심 내용으로 하는 미국식 경제모델인 워싱턴 컨센서스에 대립하는 개념으로 처음 사용했다. 일부 학자는 중국이 최근 30여 년 만에 국내총생산(GDP)을 세 배 이상 증가시키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미국식 시장경제에 대한 회의론이 커지면서 아시아·아프리카·중남미 등의 개도국들에게 ‘베이징 컨센서스’ 모델이 ‘워싱턴 컨센서스(Washington Consensus)’보다 더 큰 호응을 얻고 있다.

  • 바이오 에너지[bio energy]

    농작물 · 목재 · 축분 등을 이용하여 연료로 쓸 수 있는 대체에너지로서 생체에너지 떠는 ...

  • 브래디 채권[Brady bonds]

    1980년대 초 멕시코, 아르헨티나, 브라질 등 남미 국가들이 외채상환 불능상태에 빠졌다....

  • 법정계량단위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도량형단위(미터법). 1961년부터 국내상거래와 증명의 단위로 채택했다...

  • 법정 최고금리

    대출상품에 대해 법적으로 허용되는 가장 높은 금리. 법정최고금리를 초과하는 이자 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