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베이징 컨센서스

[Beijing Consensus]

중국이 주도하는 ‘권위주의 체제하 시장 경제 발전’을 일컫는 말. 정치적 자유화를 강요하지 않으면서 시장경제적 요소를 최대한 도입하는 중국식 발전국가 모델을 뜻한다. 정부 주도의 점진적인 경제개혁과 균형발전 등의 내용을 강조한다.

2004년 골드만 삭스의 고문이며 중국 칭화(淸華)대 겸직교수인 레이모(Joshua Cooper Ramo)가 시장원리 확대와 탈규제, 재정긴축을 핵심 내용으로 하는 미국식 경제모델인 워싱턴 컨센서스에 대립하는 개념으로 처음 사용했다. 일부 학자는 중국이 최근 30여 년 만에 국내총생산(GDP)을 세 배 이상 증가시키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미국식 시장경제에 대한 회의론이 커지면서 아시아·아프리카·중남미 등의 개도국들에게 ‘베이징 컨센서스’ 모델이 ‘워싱턴 컨센서스(Washington Consensus)’보다 더 큰 호응을 얻고 있다.

  • 부과방식[pay-as-you-go system]

    현재의 근로세대가 납부하는 보험료로 현재의 은퇴세대에게 급여를 주는 제도. 인구 고령화가 ...

  • 비교우위[comparative advantage]

    재화나 서비스를 더 적은 기회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개인이 비교우위에 있...

  • 본질주의자[essentialist]

    친구나 가족과의 연락’이라는 인맥구축 사이트 본연의 목적에 충실한 일반 이용자를 의미한다.

  • 보세구역외장치

    외국물품을 장치할 수 있도록 세관장이 특허한 보세구역이 아닌 장소에 거대중량 등 부득이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