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엘리어트 파동이론

[Elliott Wave Theory]

주가의 움직임은 상승 5파와 하락 3파로 움직이면서 끝없이 순환한다는 이론으로 1939년 엘리어트가 발표했다. 엘리어트는 주가는 연속적인 파동에 의해 상승하고 다시 하락함으로써 상승5파와 하락3파의 여덟 개 파동으로 구성된 하나의 사이클을 형성한다고 주장했다. 큰 사이클인 주순환파(Primary Cycle)를 완성하기까지는 보통 3년 정도가 소요된다. 상승5파의 1번, 3번, 5번은 상승파동으로 주파동 또는 충격파동(Impulse Wave)으로 불리고 2번, 4번은 하락파동으로 조정파동(Corrective Wave)이다. 1번에서 5번까지의 상승 국면이 끝나면 하락3파에서 하락 국면이 시작된다.

  • 윈도우 7[Windows 7]

    미국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윈도우 XP와 윈도우 비스타의 후속 PC운영체제. 기존 윈도우 비...

  • 올아이피[All-IP]

    올아이피는 이동통신 서비스인 롱텀에볼루션(LTE), 초고속인터넷 기반의 인터넷전화(VoIP...

  • 안티프래질[antifragile]

    충격을 받으면 깨지기 쉬운’이란 뜻의 ‘프래질(fragile)’의 반대 의미로 ''블랙스완...

  • 연방기금금리[Federal Fund rate, FFR]

    미국 은행간 자금거래에 적용되는 대표적인 단기금리로서 우리나라의 콜금리에 해당된다. 미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