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간선급행버스

[bus rapid transit, BRT]

도심과 외곽을 잇는 주요 간선도로에 급행버스를 운행하는 대중교통시스템을 말한다. 버스 운행속도와 승객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만들어 졌다.
건설비용이 저렴하고 지상에 있어 이용이 편리한 버스의 장점에 요금ㆍ정보시스템과 승강장ㆍ환승정거장 등 지하철의 운행시스템을 버스에 적용하여 "땅 위의 지하철"로도 불린다.

통상 전용차로와 전용 정류장, 버스운행정보시스템, 버스 우선 신호체계 등을 갖추고 있다. 국토교통부 지침에 따르면 광역형 BRT의 경우 시간당 35㎞ 이상, 도심형 BRT의 경우 시간당 25㎞ 이상의 속도를 유지해야 한다.

S(super)-BRT는 BRT중에서도 서비스를 지하철수준으로 끌어올린 고급BRT다.

  • 국가부채

    발생주의 기준으로 국가부채란 국가가 실제로 진 빚인 국가 채무에 미래에 지출하기 위해 현...

  • 가정식 대용[home meal replacement, HMR]

    기존 냉동식품과 달리 조리 즉시 냉장·냉동한 덕분에 데우기만 하면 한 끼 식사가 될 수 있...

  • 국제특허분류[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IPC]

    특허분류체계를 국제적으로 통일시킬 목적으로 체결된 국제특허분류에 관한 ''스트라스부르(St...

  • 게이트 어라운드

    핀펫(FinFET)기술과 더불어 나노미터(nm) 수준의 초미세 반도체 공정기술의 하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