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간선급행버스

[bus rapid transit, BRT]

도심과 외곽을 잇는 주요 간선도로에 급행버스를 운행하는 대중교통시스템을 말한다. 버스 운행속도와 승객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만들어 졌다.
건설비용이 저렴하고 지상에 있어 이용이 편리한 버스의 장점에 요금ㆍ정보시스템과 승강장ㆍ환승정거장 등 지하철의 운행시스템을 버스에 적용하여 "땅 위의 지하철"로도 불린다.

통상 전용차로와 전용 정류장, 버스운행정보시스템, 버스 우선 신호체계 등을 갖추고 있다. 국토교통부 지침에 따르면 광역형 BRT의 경우 시간당 35㎞ 이상, 도심형 BRT의 경우 시간당 25㎞ 이상의 속도를 유지해야 한다.

S(super)-BRT는 BRT중에서도 서비스를 지하철수준으로 끌어올린 고급BRT다.

  • 기간산업안정기금

    코로나19 사태로 초래된 기업운영의 불안정과 고용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정부가 설립한 40조...

  • 경제적부가가치[economic value added, EVA]

    기업이 벌어들인 영업이익 가운데 세금과 자본비용을 공제한 금액. 즉 투하된 자본과 비용으로...

  • 기업용 SSD

    대형 데이터센터와 서버에 사용되는 SSD. 낸드사업 영역에서 가장 성장이 빠르면서 수...

  • 갑상샘[thyroid gland]

    갑상샘은 목 앞쪽에 있는 호르몬 분비 기관이다. 나비 날개 한 쌍 모양으로 생겼다. 갑상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