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명목 국내총생산

[GDP valued at current prices, nominal GDP, 명목GDP]

한 나라의 경제규모 등을 파악하는데 이용되는 지표. 국내에서 생산된 최종생산물의 수량에 그 때의 가격을 곱해 산출한다. 즉, 명목 GDP는 물가 상승을 반영하기 때문에 실질 GDP와는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한 나라의 GDP가 2023년 기준으로 100억 달러이고, 2023년의 물가 상승률이 5%라면, 명목 GDP는 105억 달러가 된다. 이는 2023년에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이 2022년에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보다 5% 더 높기 때문이다.

명목 GDP는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포괄적으로 측정하기 때문에 경제 활동의 유용한 지표이다. 그러나 물가 상승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특히 물가 상승률이 높은 국가에서는 변동성이 심할 수 있으며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의 품질 변화를 반영하지 않는다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 미국산우선구매법[Buy American Act]

    1933년 통과된 미국의 국내법으로 미국에서 생산된 비제조 및 제조품, 원료, 부품 등을 ...

  • 무보증소액창업대출[Micro Credit]

    무보증소액창업대출(Micro Credit)이란 빈곤층에 담보나 보증인 없이 소자본 창업자금...

  • 몬덱스카드[mondex card]

    영국의 National Westminster와 Midland 은행이 British Tele...

  • 맥거핀[macguffin]

    맥거핀''이란 속임수, 미끼라는 뜻으로 거장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이 고안한 것이다. 이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