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단체수의계약제도

 

중소기업청장이 지정 공고한 단체수의계약 물품을 공공기관이 구매할 경우 해당 중소기업협동조합과 수의계약으로 구매하는 제도로 지난 65년 21개 조합의 181개 품목을 대상으로 도입됐다. 이 제도는 중소기업의 안정적인 판로를 보장함으로써 경영안정을 도모하고, 이를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및 품질향상을 촉진하여 경쟁력을 갖추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불공정한 물량배정과 지나친 보호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과경쟁력을 저하시킨다는 비난이 일면서 2007년부터 완전 폐지됐다. .

  • 담보 콜거래

    금융기관 상호간에 일시적인 자금과부족 현상이 발생했을 때 주식 등 유가증권을 담보로 단기(...

  • 대장암

    대장에 생긴 암세포로 이루어진 악성종양. 대장암은 초기 단계에선 아무런 증상이 없다가...

  • 도시기본계획

    국토건설종합계획 등 상위계획의 내용을 수용·발전시켜 도시의 장기적인 발전방향과 미래상을 제...

  • 디지털 골드러시[Digital gold rush]

    2017년 들어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암호화된 가상화폐의 가치가 급등하면서 이를 채굴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