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세금해방일

[tax freedom day]

세금해방일이란 한 국가의 국민들이 일정기간 동안의 소득은 세금을 내고 자기자신을 위해서 일하기 시작하는 날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세금해방일은 정부가 국민에게 부과한 세금을 내기 위해 국민들이 얼마나 많은 시간을 일해야 하는지를 알려 주는 날이라고 할 수 있다. 정부에 내야 하는 세금을 내지 않는다면 소득으로 남아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전경련 산하 자유기업원에 의하면 2001년 중앙 및 지방정부의 세금합계를 추계한 세금부담(130조원)을 국민순소득(491조원 추정)으로 나누면 연간 세금부담비율이 26.5%에 달해 365일 중 26.5%에 해당하는 96일간은 세금을 내기 위해 일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2001년 1월 1일에서 96일째 되는 4월 6일까지는 정부에 세금을 내기 위해 일한 것이어서 순수하게 자신의 소득을 위해 일하는 날은 4월 7일이며 이 날을 세금해방일이라고 한다.

  • 서비스수지

    외국과의 서비스거래 결과 벌어 들인 돈과 지급한 돈의 수지차를 말한다. 서비스거래는 운송,...

  • 새집증후군[sick house syndrome]

    새로 지은 아파트 등의 벽지나 바닥재 등 건축자재에서 뿜어나오는 유해물질로 인해 두통 피부...

  • 슈퍼 컴퓨터[super computer]

    슈퍼 컴퓨터란 현재 개발되어 있는 컴퓨터 중에서 가장 크고 빠른 컴퓨터를 말한다. ...

  • 삼선전환도

    삼선전환도는 주가가 상승에서 하락으로 또는 하락에서 상승으로 전환하는 시점을 포착하는 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