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세금해방일

[tax freedom day]

세금해방일이란 한 국가의 국민들이 일정기간 동안의 소득은 세금을 내고 자기자신을 위해서 일하기 시작하는 날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세금해방일은 정부가 국민에게 부과한 세금을 내기 위해 국민들이 얼마나 많은 시간을 일해야 하는지를 알려 주는 날이라고 할 수 있다. 정부에 내야 하는 세금을 내지 않는다면 소득으로 남아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전경련 산하 자유기업원에 의하면 2001년 중앙 및 지방정부의 세금합계를 추계한 세금부담(130조원)을 국민순소득(491조원 추정)으로 나누면 연간 세금부담비율이 26.5%에 달해 365일 중 26.5%에 해당하는 96일간은 세금을 내기 위해 일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2001년 1월 1일에서 96일째 되는 4월 6일까지는 정부에 세금을 내기 위해 일한 것이어서 순수하게 자신의 소득을 위해 일하는 날은 4월 7일이며 이 날을 세금해방일이라고 한다.

  • 스몰캡팀[Smallcap team]

    스몰캡이라 함은 시가 총액 1,000억원 이하의 중소형 종목을 일컫는다. 현재 주식시장에 ...

  • 사금융

    은행, 보험사, 증권사 등 제도권 금융기관이 아닌 대부업체 등의 사적 금융업자를 통한 금융...

  • 신개발은행[New Development Bank, NDB]

    브라질과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 등는 브릭스(BRICS) 5개국이 미국주도의 국...

  • 소득교역조건지수[所得交易條件指數]

    수출 금액으로 수입을 늘릴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는 지표로 순상품 교역조건에 수출수량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