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세금해방일

[tax freedom day]

세금해방일이란 한 국가의 국민들이 일정기간 동안의 소득은 세금을 내고 자기자신을 위해서 일하기 시작하는 날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세금해방일은 정부가 국민에게 부과한 세금을 내기 위해 국민들이 얼마나 많은 시간을 일해야 하는지를 알려 주는 날이라고 할 수 있다. 정부에 내야 하는 세금을 내지 않는다면 소득으로 남아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전경련 산하 자유기업원에 의하면 2001년 중앙 및 지방정부의 세금합계를 추계한 세금부담(130조원)을 국민순소득(491조원 추정)으로 나누면 연간 세금부담비율이 26.5%에 달해 365일 중 26.5%에 해당하는 96일간은 세금을 내기 위해 일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2001년 1월 1일에서 96일째 되는 4월 6일까지는 정부에 세금을 내기 위해 일한 것이어서 순수하게 자신의 소득을 위해 일하는 날은 4월 7일이며 이 날을 세금해방일이라고 한다.

  • 산탄데르 은행[Banco Santander]

    1857년 설립된 스페인 은행으로 유럽의 대표 은행이다. 소매 금융, 투자금융, ...

  • 수입화물 선취보증서[letter of guarantee, LG]

    선박회사는 수출업체가 화물을 선적했다는 증서인 선하증권(BL)을 받은 후 수입업체에 물건을...

  • 상장지수증권[exchange-traded note, ETN]

    원자재, 환율, 주가지수 등 기초자산의 가격 변동에 따라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한 채...

  • 수입과징금[import surcharge]

    수입을 억제하기 위해 부과하는 특별관세나 부가세. 수입과징금은 수입품에 대해서 부과하는 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