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토지거래허가제

 

토지거래허가제는 토지 투기 억제와 지가 안정을 위해 도입된 제도로, 1979년에 처음 시행됐다.

토지의 투기적 거래가 성행하거나 지가가 급등할 우려가 있는 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해 적용한다.

해당 지역에서는 토지 계약 전에 관할 시·군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이용 목적, 면적, 거래 가격 등을 명시해 신청해야 한다.

시·군은 접수일로부터 25일 이내에 허가 여부를 결정해 통보해야 한다. 허가 없이 거래하거나 허가 목적과 다르게 이용할 경우 계약은 무효가 되며 처벌 대상이 된다.

법적 근거는 국토이용관리법(현행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이며, 허가구역은 통상 5년 단위로 지정된다.

  • 테더[Tether, USDT]

    테더 (Tether)는 미국 달러와 1:1로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으로 USDT로 줄여서도 쓴...

  • 텔레콤 계수[telecom Engel’s coefficient]

    가계지출에서 정보통신비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식료품비를 나타내는...

  • 택스마게돈[Taxmageddon]

    세계 각국이 늘어만 가는 정부 지출에 충당하기 위해 세금을 대폭 올리는 것을 빗댄 조어다....

  • 특정공사

    총공사비가 추정가격 100억원 미만인 신규복합공종공사 중에서도 각 중앙관서의 장이 대안입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