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병행수입제

[parallel imports]

같은 상표의 상품을 여러 수입업자가 수입하여 국내에서 판매할 수 있는 제도. 원칙적으로 상표의 고유기능인 출처표시 및 품질보증 기능을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모든 수입품에 대한 병행수입이 허용된다. 우리나라에서는 1995년 11월부터 수입공산품의 가격인하를 유도하기 위해 1995년 11월부터 허용됐다. 이에 따라 국내 독점판매권자나 수입상표의 전용상용권자는 단지 위조품에 대해서만 그 권리를 보호받게 되었다. 국내외 상표권자가 동일인이거나 같은 계열사 또는 본·지사 관계, 독점 수입대리점 등 자본 거래가 있는 특수관계의 경우에는 상표권이 소진된 것으로 간주하여, 다른 수입업자가 이 상품을 수입해 판매할 수 있게 된다. 위조품을 팔지 않는 한 불법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가격이 공식 수입업체보다 싸다.

  • 분리편성광고

    방송 프로그램을 1부,2부, 3부 등 분리 편성해 그 사이에 넣는 광고를 말한다. 방송프로...

  • 변동금리 저당대출[adjustable rate mortgage, ARM]

    국채 수익률과 연동돼 금리 변경이 가능한 미국의 주택담보 대출. 대출후 첫 2-3년간은 낮...

  • 본드몰[Bond Mall]

    금융투자협회에서 운영하고 있는 소매채권 판매정보집중시스템. 채권의 수익률·표면금리·신용등급...

  • 백마진

    리베이트의 하나로 판매자가 일정 조건 이상의 거래를 성사시켰을 때 받아야 할 상품단가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