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잠재성장률

[potential growth rate]

한나라의 경제가 보유하고 있는 자본, 노동력, 자원 등 모든 생산요소를 사용해서 물가상승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최대한 이룰 수 있는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말한다. 있는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서 최고의 노력을 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최대의 성장치라고 할 수 있다.

한 나라의 경제 성장이 얼마나 가능하느냐를 가늠하는 성장 잠재력 지표로도 활용된다. 정부와 한국은행은 통상 5∼10년간 성장률을 감안해 산출하고 있다. 잠재성장률이 5%라면 물가상승 없이는 5%를 초과해 성장하기 힘들다는 의미다.

한편, 잠재성장률과 달리 실질성장률은 한 나라의 경제가 실제로 생산한 모든 최종생산물의 시장가치를 말한다. 폭발적인 호황으로 생산 요소가 정상 수준 이상으로 사용되면 실질성장률이 잠재성장률을 웃돌 수 있다. 반면 불황기에는 높은 실업률, 낮은 가동률 등에 의해 실질성장률이 잠재성장률을 밑돌게 된다.

  • 제안요청서[Request For Proposal, RFP]

    프로젝트 입찰에 응찰하는 제안서를 요청하는 제안 요청서를 말한다. RFP에서는 주로 프로젝...

  • 제한적 본인확인제

    하루 평균 방문자 수가 10만명을 넘는 인터넷 사이트에서 주민등록번호,아이핀(i-PIN),...

  • 자산평가지수

    증권, 부동산, 자산 등의 가치를 보유자가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나타내는 지수. 6개월 전과...

  • 지급불능[insolvency]

    정상적인 영업활동에서 만기에 재무적인 부채를 상환하지 못한 상태. 주어진 기간에 재산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