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잠재성장률

[potential growth rate]

한나라의 경제가 보유하고 있는 자본, 노동력, 자원 등 모든 생산요소를 사용해서 물가상승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최대한 이룰 수 있는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말한다. 있는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서 최고의 노력을 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최대의 성장치라고 할 수 있다.

한 나라의 경제 성장이 얼마나 가능하느냐를 가늠하는 성장 잠재력 지표로도 활용된다. 정부와 한국은행은 통상 5∼10년간 성장률을 감안해 산출하고 있다. 잠재성장률이 5%라면 물가상승 없이는 5%를 초과해 성장하기 힘들다는 의미다.

한편, 잠재성장률과 달리 실질성장률은 한 나라의 경제가 실제로 생산한 모든 최종생산물의 시장가치를 말한다. 폭발적인 호황으로 생산 요소가 정상 수준 이상으로 사용되면 실질성장률이 잠재성장률을 웃돌 수 있다. 반면 불황기에는 높은 실업률, 낮은 가동률 등에 의해 실질성장률이 잠재성장률을 밑돌게 된다.

  • 자유치

    촉진법안에서 사업시행 주체 중 하나로 제3섹터인 ‘민·관합동법인’을 명시하고 있다. 민·관...

  • 자트로파[Jatropha]

    야생낙엽수의 일종으로 검은 씨앗에서 나오는 기름이 바이오디젤의 원료로 사용된다. 인도차이나...

  • 조작[manipulation]

    활발한 거래가 있는 것처럼 보이기 위해 증권을 사거나 파는 행위. 따라서 다른 투자가가 증...

  • '지놈'과 '게놈'[Genom]

    Genome은 `유전자'를 뜻하는 gen과 `염색체'를 뜻하는 chromosom을 합성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