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예정위험률

 

보험료 계산의 기초요건으로 한 개인이 사망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등의 일정한 보험사고가 발생할 확률을 대수의 법칙에 의해 예측한 것을 말한다.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사람의 생사확률을 나타내는 생명표이며 입원율 장해율 암발생확률 등 신체와 관련된 대부분의 위험을 확률로 나타낼 수 있다. 예정사망률의 하락은 사망자가 줄어 보험금의 지급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종신보험등 위험보장되는 보험의 보험료를 하락시키는 요인이 된다. 하지만 사망자가 감소하면서 만기까지 생존하는 사람의 수가 증가하므로 연금보험료는 인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반대로 예정사망률이 상승하면 종신보험료는 상승하고 연금보험료는 하락하게 된다.

  • 에너지 목표관리제

    기업가 정부가 에너지사용량 또는 효율에 대한 목표를 협의해 설정하고, 이행계획, 관리체계 ...

  • 월드클래스 300

    정부가 2017년까지 글로벌 강소기업 300개를 키우겠다는 프로젝트. 매출 400억~1조원...

  • 유리고화설비

    유리고화설비는 고온에서 폐기물을 용융하여 유리체로 고화시킴으로서 폐기물의 부피를 감량시키고...

  • 역류성 식도염

    위산으로 식도 점막이 망가져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위에 든 음식과 위액이 자주 역류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