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예정위험률

 

보험료 계산의 기초요건으로 한 개인이 사망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등의 일정한 보험사고가 발생할 확률을 대수의 법칙에 의해 예측한 것을 말한다.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사람의 생사확률을 나타내는 생명표이며 입원율 장해율 암발생확률 등 신체와 관련된 대부분의 위험을 확률로 나타낼 수 있다. 예정사망률의 하락은 사망자가 줄어 보험금의 지급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종신보험등 위험보장되는 보험의 보험료를 하락시키는 요인이 된다. 하지만 사망자가 감소하면서 만기까지 생존하는 사람의 수가 증가하므로 연금보험료는 인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반대로 예정사망률이 상승하면 종신보험료는 상승하고 연금보험료는 하락하게 된다.

  • 우버[Uber]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으로 승객과 차량을 이어주는 서비스. 승객을 일반 택시와 ...

  • 이캐쉬[e-cash]

    인터넷 기술을 이용해 대금 청구.지불 프로세스를 처리하여 거래를 성사시키는 과정이다. 이세...

  • 아스키[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ASCII]

    대부분의 마이크로 컴퓨터, 컴퓨터 터미널, 프린터에 사용되는 문자를 2진수로 표현하는 표준...

  • 아프리카 돼지열병[African Swine Fever, ASF]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돼지 전염병으로 출혈과 고열이 주 증상이며 사람은 감염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