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예정위험률

 

보험료 계산의 기초요건으로 한 개인이 사망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등의 일정한 보험사고가 발생할 확률을 대수의 법칙에 의해 예측한 것을 말한다.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사람의 생사확률을 나타내는 생명표이며 입원율 장해율 암발생확률 등 신체와 관련된 대부분의 위험을 확률로 나타낼 수 있다. 예정사망률의 하락은 사망자가 줄어 보험금의 지급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종신보험등 위험보장되는 보험의 보험료를 하락시키는 요인이 된다. 하지만 사망자가 감소하면서 만기까지 생존하는 사람의 수가 증가하므로 연금보험료는 인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반대로 예정사망률이 상승하면 종신보험료는 상승하고 연금보험료는 하락하게 된다.

  • 유형자기자본[tangible common equity, TCE]

    은행 자본 건전성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총자본에서 무형자산과 우선주 등을 제외한 것이다. ...

  • 인덱스[index]

    인덱스는 일반적으로 한 권의 책에 수록된 내용들 중 원하는 항목을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

  • 연계콜

    투자신탁회사가 고객이 맡긴 신탁재산에서 자금중개회사를 거쳐 회사 고유계정으로 돈을 차입하는...

  • 앵커 베이비[anchor baby]

    미등록 이주민이 미국에서 출산해 미국 국적을 얻은 아기를 뜻한다. 바다에 앵커(닻)를 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