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편차지수

[deviation index]

업종별 동향을 파악하는 지표인 "편차지수(deviation index)"의 유용성이 높아지고 있다. 편차지수란 전체주가 동향에 대해 업종별 주가가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를 알아보는 지표다. 어떤 업종의 주가가 상승해도 그 상승률이 전체주가 상승률보다 낮으면 편차지수는 "-"로 표시한다. 반면 어떤 업종의 주가 하락률이 전체에 비해 적으면 편차지수는 "+"로 표시한다.

  • 파산법 363 섹션[Bankruptcy Code Section 363]

    법원이 채권단의 동의없이 파산 위기에 처한 기업의 우량자산을 떼내 매각을 명령할 수 있도록...

  • 프라이빗 뱅커[private banker]

    고액 자산가의 자산 관리를 도와주는 금융회사 직원을 말한다. 이들은 거액자산가를 대...

  • 포괄임금제[Inclusive Wage System]

    기본급에 시간외근로 수당을 미리 포함해 일괄 지급하는 근로계약 방식이다. 근로시간 산정이...

  • 포트폴리오 보험전략

    미리 손실폭을 정해두고 그 범위 내에서 운용하는 전략으로 손절매 개념을 도입한 전략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