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한계농지

 

토질이 나쁘거나 비탈이 심해 생산성이 떨어지는 농지를 말한다. 동일한 양의 자본과 노동을 투입하더라도 생산량이 다른 토지에 비해 현저히 적을 경우에 해당된다. 한계농지는 농지법에서 규정한 개념이 아니기 때문에 한계농지를 분류하는 정확한 기준은 없다. 농지의 경사도와 고도, 토양 생산량 등 여러가지를 따져야 한다. 최근에는 농업생산성이 우수하더라도 지역여건을 감안할 경우 수익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농지에 대해서도 한계농지라 부른다. 수도권 농지가 여기에 해당된다. 정부는 논농지와 밭농지 1백89만 헥타르를 생산성 등을 기준으로 농업진흥지역과 비진흥지역으로 구분하고 있다. 한계농지는 대부분 비진흥지역에 속한다.

  • 현물 바스켓

    주식이나 채권 등의 실물자산을 현물이라고 하고 바스켓(basket)은 장바구니를 뜻한다. ...

  • 한계예금지급준비금

    현저한 통화팽창기에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금융통화위원회가 지정하는 날을 기준으로 예금준...

  • 홀로토모그래피[Holotomography]

    컴퓨터단층촬영(CT)으로 인체를 보듯 세포를 볼 수 있는 현미경

  • 한국표준형원전[Optimized Power Reactor 1000, OPR1000]

    우리나라 자체기술로 개발한 설비용량 1,000MW급 가압경수로(PWR)형식의 핵 반응로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