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기업실적

 

기업실적은 "어떤 기업이 얼마만큼 팔아 어느정도 이익을 올렸는가"를 나타내는 말이다. 구체적으로 매출액 영업이익 경상이익 당기순이익 등으로 세분된다. 주식시장에서는 네가지 지표중 통상 경상이익과 당기순이익을 기준으로 삼는다. 따라서 매출은 늘었지만 당기순이익이 줄었다면 실적개선으로 볼 수 없다는 설명이다.

매출액은 제품을 얼마만큼 팔았느냐(판매금액)를 나타내는 수치다. 매출액에서 제품을 만드는데 들어간 원료비 임금 판매관리비 등의 영업비용을 뺀 것이 영업이익이다. 실제 장사를 해서 얼마만큼의 돈을 남겼는가를 나타낸다. 기업의 현금흐름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다.

경상이익은 영업이익에서 이자비용 환차손 등 직접 영업과 관련되지 않는 부문에서 발생한 영업외비용을 뺀(영업외수익은 포함) 수치를 말한다. 기업실적과 관련해 가장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대부분 기업이 일정부분의 차입금을 가지고 영업활동으로 하기 때문에 경상이익이 진정한 의미의 실적이라고 할 수 있다.

당기순이익은 경상이익에서 특별손익을 가감한뒤 법인세를 제외한 수치다. 공장매각 등 정상적인 기업활동과 무관하게 발생한 특별이익특별손실을 경상이익에서 보태거나 빼서 나온게 당기순이익이다.

  • 공유가치창출[creating shared value., CSV]

    기업이 수익창출 이후에 사회공헌활동을 하는 게 아니라 기업과 주변 공동체가 대등한 관계에서...

  • 공공기관 경영계약제

    공공기관의 책임경영체제를 강화하기 위해 1년단위로 매년 기관장의 경영계획서를 받은 뒤 이행...

  • 경성 카르텔[hard core cartel]

    경제활동의 효율 창출이나 제고를 내포하지 않은 경쟁자간의 협력행위를 말한다. 즉, 독점력의...

  • 개산지급금

    예금보험공사가 파산 후 만든 파산재단에서 원금보호를 받지 못한 5000만원 초과 예금자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