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지구단위계획

 

도시 안의 특정한 구역을 종합적,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수립하는 일종의 공간계획.

지방자치단체 등이 특정 지역을 개발·정비·관리할 때 도시 경관을 개선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지정한다.
교통·환경 등 10년 내 해당 지역이 겪게 될 변화를 고려해 건축물 및 기반시설 설치 기준을 세우고 해당 지역 여건에 따라 건축물 높이와 용도 및 용적률 등을 결정한다.

구역의 용도는 일반주거지역 준주거지역 상업지역 등으로 다양하다.

`작은 도시계획’으로도 불린다

  • 자동차 리콜

    자동차가 안전 기준에 부적합하거나 안전 운행에 지장을 주는 결함이 있을 때 자동차 제작·조...

  • 자기잠식효과[cannibalization effect, cannibalization]

    새로 내놓는 제품이 기존의 자사 주력상품의 고객을 빼앗아 가는 현상을 뜻하는 용어. 동족 ...

  • 중앙도시계획위원회

    광역도시계획·도시계획·토지거래계약허가구역 등 도시계획의 결정과 기타 도시계획에 관한 사항을...

  • 정리신탁공사[Resolution Trust Corporation, RTC]

    1989년 미국의 저축대부조합이 도산할 때 이들의 부실채권을 인수하기 위해 미국정부가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