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지구단위계획

 

도시 안의 특정한 구역을 종합적,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수립하는 일종의 공간계획.

지방자치단체 등이 특정 지역을 개발·정비·관리할 때 도시 경관을 개선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지정한다.
교통·환경 등 10년 내 해당 지역이 겪게 될 변화를 고려해 건축물 및 기반시설 설치 기준을 세우고 해당 지역 여건에 따라 건축물 높이와 용도 및 용적률 등을 결정한다.

구역의 용도는 일반주거지역 준주거지역 상업지역 등으로 다양하다.

`작은 도시계획’으로도 불린다

  • 집적 이익[集積 利益, economies of concentration]

    어떤 지역에 산업이나 인구가 집중되면 서로가 분업(分業)되거나 노동력 및 소비의 시장이 이...

  • 주한미국상공회의소[The American chamber of Commerce in Korea, AMCHAM]

    한·미 양국간의 무역과 통상 진흥을 목적으로 1953년 창설된 민간주도의 경제협의체로서 현...

  • 장기금융기관차입금[long term debt to banking institutions]

    상환기일이 1년 이후에 도래하는 금융기관차입금을 말한다.

  • 제3종 일반주거지역

    층수 제한이 없는 고층주택 건축이 개발한 지역. 용적률 200%이상 300% 이하로 보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