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단위계획
도시 안의 특정한 구역을 종합적,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수립하는 일종의 공간계획.
지방자치단체 등이 특정 지역을 개발·정비·관리할 때 도시 경관을 개선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지정한다.
교통·환경 등 10년 내 해당 지역이 겪게 될 변화를 고려해 건축물 및 기반시설 설치 기준을 세우고 해당 지역 여건에 따라 건축물 높이와 용도 및 용적률 등을 결정한다.
구역의 용도는 일반주거지역 준주거지역 상업지역 등으로 다양하다.
`작은 도시계획’으로도 불린다
-
지분법[equity method, actual value method]
20% 이상 출자한 자회사의 순이익을 보유 지분만큼 모회사 재무제표에 반영하는 제도. ...
-
자동요금징수시스템(철도)[automatic fare collection system, AFC system]
승차권 구입 및 개집표까지의 모든 업무 및 각종 통계업무를 정보시스템으로 처리하기 위한 설...
-
지분법 회계[actual value method]
A기업이 관계회사인 B기업의 주식을 갖고 있을 경우 B기업의 이익이나 손실을 A기업의 손익...
-
정부조달협정[Government Procurement Agreement, GPA]
정부 조달에 관한 세계무역기구(WTO) 복수국 간 협정. 한국을 포함해 미국, 유럽연합(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