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편입비율

 

편입비율은 일정 투자대상에 전체 신탁재산의 몇%를 투자하는가를 나타내는 수치. 예를 들어 주식형 수익증권주식편입비율이 20~90%이고 전체 신탁재산이 1백억원이라면 펀드매니저는 이 펀드에 주식을 20억원에서 90억원까지 포함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의미할 뿐이다. 펀드매니저가 향후 주가를 낙관한다면 주식이 차지하는 비중을 높여 고수익을 추구할 것이고 비관적이라면 편입비율을 낮춰 운용할 것이다.

또 펀드의 수익변화는 종합주가지수와 연동되는 경향을 띤다. 가령 펀드 총자산의 50%를 주식에 투자한다면 대략 종합주가지수의 변동폭을 절반정도 따라갈 수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즉 종합주가지수가 30% 상승했다면 펀드 수익률은 15%가량 높아진다.

  • 팻 테일 리스크[fat tail risk]

    정규 분포(normal distribution)에서 유래된 것으로 꼬리가 너무 살쪄 두꺼워...

  • 펜트업 효과[pent-up effect]

    억눌렸던 수요가 급속도로 살아나는 현상으로, 외부의 영향으로 수요가 억제됐다가 그 요인이 ...

  • 포괄적 주식교환

    비상장기업 주주들이 상장기업에 지분을 모두 넘겨주고 그 대가로 상장기업의 신주를 받는 것....

  • 포괄금융

    영세수출업체에 대한 무역금융 취급절차상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자금용도, 즉생산자금 또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