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장기미집행시설용지

 

정부가 도로 공원 녹지 유원지 광장 학교 등 공공 도시기반시설을 설치하기위해 지정한 땅 중 장기간 집행되지 않은 곳을 말한다.

이 용지로 지정되면 건축행위가 제한된다.

장기간 사업이 진행되지 않은 계획시설 용지에서 지정해제 되면 해당 토지 소유주들은 자유롭게 재산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된다.

그동안 지자체의 재원부족으로 개발되지 않고 오랫동안 방치된 땅이 많아 토지소유자의 재산권을 침해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 자본잠식[impaired capital]

    순자산이 자본금보다 적어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기업이 지속적으로 적자를 기록하면, 처음에는...

  • 제로베이스 예산[zero-based budgeting, ZBB]

    모든 예산 항목에 대해 기득권을 인정하지 않고 매년 0을 출발점으로 과거의 실적이나 효과,...

  • 종업원 셀프서비스[Employee Self Service]

    인적자원관리의 가치사슬을 통합하고 직원과 데이터를 직접 연결시켜주는 개념인 종업원셀프서비스...

  • 중국 룰

    중국의 바둑 규칙. 가장 큰 특징은 계자제(計子制)로 바둑판 위에 살아 있는 돌과 집을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