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MRO

[Maintenance, Repair, Operation, MRO]

소모성 자재구매 뿐 아니라 설비와 시설물 유지 보수를 대행하는 업무를 말한다. maintenance(유지), repair(보수), operation(운영)의 머리글자에서 딴 용어다.

예를 들어 기계부품, 전기 스위치, 볼트, 베어링, 윤활유 등 설비유지 보수 자재와 일반 비품 소모품 사무용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등 오퍼레이팅 자재를 들 수 있다. MRO가 제조 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0%내로 회사의 구매에 차지하는 비중은 작은 편이다. 그러나 MRO 구매의 특징은 비주기적이기 때문에 수요 예측에 따른 자재소요계획(MRP; Material Requirement Planning)의 가동이 힘들다. 또 긴급 구매의 비중(40~50%)이 커 비효율적 구매를 할 가능성이 높다. 국내 MRO 관리의 주요 문제점은 높은 비율의 긴급 구매(전체 MRO의 구매의 40~50%),복잡한 구매 단계,비 정형화된 구매 프로세스 등등이다.

  • MZ세대[MZ Generation]

    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와 1990년대 중반부터 2010년...

  • MIS[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경영정보시스템. 조직의 계획·운영 및 통제를 위한정보를 수집, 저장·검색·처리하여 적절한 ...

  • MATV[Master Antenna Television]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입주자들이 공용 안테나를 설치해 복수의 TV수상기와 연결하는 텔레비전 ...

  • MBA[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 MBA]

    MBA는 경영전문대학원을 졸업한 경영학 석사의 약어다. MBA과정은 기업의 중간 관리자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