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필립스 곡선

[Phillips curve]

영국의 경제학자 필립스가 찾아낸 실증 법칙으로 실업률이 낮으면 임금상승률이 높고 실업률이 높으면 물가상승률이 낮다는 반비례 관계를 나타낸 곡선이다. 필립스곡선이 우상향한다는 것은 이 같은 상관관계가 깨지고 실업률과 물가가 동시에 올라간다는 뜻이다.

즉 중앙은행이 돈을 풀어 물가를 올리는 정책을 취하면 단기적으로 경기를 부양해(물가를 끌어올려) 실업률을 낮출 수 있다는 얘기다.

필립스는 명목임금 상승률과 실업률의 관계를 분석했지만 일반적으로 명목 임금상승률과 물가상승률은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기 때문에 어떤 지표를 사용해도 큰 차이는 없다.

  • 폼팩터[form factor]

    폼팩터는 제품의 물리적 외형을 뜻하는 말이다. 원래 컴퓨터 하드웨어 규격을 지칭하는 용어지...

  • 팩토링 금융

    금융기관들이 기업으로부터 상업어음, 외상매출증서 등 매출채권을 매입한 뒤 이를 바탕으로 자...

  • 필드 스톱제[field stop system]

    PC, 정보기기, 카 오디오 등 내수용 상품에 중대한 결함이 생길 경우 개선될 때까지 판매...

  • 프로텍트[protect]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정보를 타인이 고의적으로 도용하거나 자신의 실수로 소멸되거나 훼손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