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권리락

[exrights off, rights off]

구주에 부여되는 신주 인수권 또는 신주의 유상·무상교부를 받을 권리가 없어진 상태를 말한다. 즉, 주주가 현실적으로 주식을 소유하고 있더라도 주주명부가 폐쇄되거나 배정기준일이 지나 신주를 받을 권리가 없어진 상태를 말한다. 권리락의 경우 주가는 권리부(배당 및 신주를 받을 권리를 갖고 있는 주식) 시세에서 조정되는 것이 보통이다. 일반적으로 증자의 경우 신주 인수권이 없어진 상태를 말하며 배당권이 없어진 경우는 배당락이라 한다. 한편 권리락이 됨에 따라 신주권이 없는 상태의 주식가격을 권리락 주가라고 한다.

  • 가격분석[price analysis]

    기업이 제품 또는 서비스의 가격을 결정하기 위해 수행하는 일련의 과정. 원가, 시장...

  • 개인영업잉여

    일정기간 국민 생산활동에서 자영업자의 소득을 나타낸 것

  • 기대수명[life expectancy]

    특정 연령의 생존자가 앞으로 더 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생존연수를 말한다. 특정 ...

  • 게이트키퍼[gatekeeper]

    특정 시장이나 분야에서 경쟁을 제한하거나, 소비자의 선택권을 제한하는 지배적인 기업이나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