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실질국민총소득

[real gross national income, real GNI]

한 나라 국민이 국내는 물론 국외에서 생산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소득의 실질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다. 한 나라의 경제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생산측면뿐만 아니라 교역조건을 감안한 구매력 등을 따로 산정해야 한다는 차원에서 도입됐다.

생산지표인 실질 GDP(국내총생산)에서 실질 무역손실을 빼고 자국민이 외국에서 얻은 소득은 합치고 외국인이 국내에서 번 소득은 뺀다. 따라서 국내 총생산이 증가해도 수입단가가 수출단가에 비해 더 큰 폭으로 상승하는 `교역조건 악화'' 현상이 발생하면 실질 GNI는 떨어질 수 있다. 실질 GNI가 감소하면 국민이 쓸 돈이 그만큼 줄어들어 체감경기가 악화된다.

  • 수렴의 철칙[iron law of convergence]

    가난한 나라가 부자 나라를 따라잡는 데 오랜 기간이 걸린다는 이론이다. 로버트 배로 미 하...

  • 솅겐조약[Schengen agreement, Schengen Acquis]

    유럽연합(EU) 회원국 간 체결된 국경 개방 조약이다. 1985년 프랑스 독일 벨기에 네...

  • 스마트 원자로[System-integrated Modular Advanced Reactor, SMART]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세계최초로 개발한 한국형 중소형 모듈 원자로. 한국은 1990년대부터 수...

  • 산업공동화

    제조업의 해외 현지생산 등 해외직접투자가 진전되면서 국내산업이 쇠퇴해가는 현상을 말한다.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