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TRS

[trunked radio service]

하나의 주파수 채널을 다수의 가입자가 공동으로 이용하는 무선통신방식이다. 디지털 TRS는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방식의 디지털 이동전화 등 주요무선통신서비스가 광대역의 주파수를 필요로 하는 것에 반해 협대역의 주파수로도 많은 가입자를 수용해 주파수 고갈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 디지털 TRS는 보통 2백50MHz정도로 2천명의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다.

TRS가 각광받게 된 것은 최근 디지털 방식이 개발됐기 때문이다. 1970년대 상용화한 아날로그 방식의 TRS는 무전기와 별 차이 없이 폐쇄무선통신으로 사용돼 왔으나 최근 상용화한 디지털 방식은 서비스 반경이 20~50㎞로 3~10㎞의 차량전화나 5∼10㎞의 업무용 무전기에 비해 훨씬 넓다. 또 개별 호출 및 그룹 호출이 가능하고 음성 및 데이터는 물론 영상정보도 제공할 수 있어 개인휴대통신(PCS)에 버금가는 종합 무선서비스로 떠오르고 있다.

  • TEU[twenty foot equivalent]

    컨테이너의 크기와 용량을 나타내는 단위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표준 단위이다. TEU...

  • TARP[Troubled Assets Relief Program, TARP]

    미국이 금융위기 극복을 위해 만든 미국 재무부 금융구제프로그램으로 2008년 10월 선보였...

  • TD-HSDPA

    중국의 3세대 이동통신 기술인 TD-SCDMA을 업그레이드한 3.5세대 기술 규격. TD-...

  • T-bill[treasury bill, T-bill]

    미국 재무부가 발행하고 미국 정부가 지급을 약속한 만기 1년 이하의 초단기 국채. 재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