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S
[trunked radio service]하나의 주파수 채널을 다수의 가입자가 공동으로 이용하는 무선통신방식이다. 디지털 TRS는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방식의 디지털 이동전화 등 주요무선통신서비스가 광대역의 주파수를 필요로 하는 것에 반해 협대역의 주파수로도 많은 가입자를 수용해 주파수 고갈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 디지털 TRS는 보통 2백50MHz정도로 2천명의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다.
TRS가 각광받게 된 것은 최근 디지털 방식이 개발됐기 때문이다. 1970년대 상용화한 아날로그 방식의 TRS는 무전기와 별 차이 없이 폐쇄무선통신으로 사용돼 왔으나 최근 상용화한 디지털 방식은 서비스 반경이 20~50㎞로 3~10㎞의 차량전화나 5∼10㎞의 업무용 무전기에 비해 훨씬 넓다. 또 개별 호출 및 그룹 호출이 가능하고 음성 및 데이터는 물론 영상정보도 제공할 수 있어 개인휴대통신(PCS)에 버금가는 종합 무선서비스로 떠오르고 있다.
-
T-본드의 역설[T-bond’s paradox]
미국처럼 신용등급이 떨어지고 재정적자와 국가채무 부담이 높은 상황에서는 국채수익률은 상승(...
-
TED 콘퍼런스
미국 비영리단체인 새플링재단 주도로 열리는 글로벌 콘퍼런스.기술(Technology) 오락...
-
TDR[Time Domain Reflectometer]
측정기기에서 고장 지점까지 신호를 쏘아서 신호가 고장점에서 반사하여 돌아오는데 까지의 시간...
-
TQC[total quality control]
1970년 후반 일본에서 시작되 ''전사적 품질관리운동''. 소비자 입맛에 꼭 맞는 품질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