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T
시중에 돈이 얼마나 풀려 있는가를 가늠하는 척도인 통화지표의 일종. 총통화(M2)에다 양도성예금증서(CD) 및 은행금전신탁(money in trust)을 합한 돈의 총량을 가리킨다. MCT는 3가지의 영문 머리글자를 따온 것이다. 흔히 말하는 돈은 그 개념이 여러 가지다. 지폐나 동전 등 현금만을 가리킬 수도 있고 언제든지 큰 불편없이 현금화할 수 있는 금융자산까지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통화당국이 적절한 시중유동성을 유지하려면 일정한 기준, 즉 중심통화지표를 채택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1979년부터 M2를 중심 통화지표로 사용해왔다. M2에는 현금과 은행요구불예금, 정기예·적금 등 저축성예금, 거주자 외화 예금이 포함된다. 그러나 최근엔 은행예금과 큰 차이가 없는 은행신탁계정과 CD 등의 규모가 커져M2의 대표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은 1997년부터 M2와 함께MCT를 중심통화지표로 채택했으며 사실상 MCT를 중심으로 통화를 관리하고 있다.
-
MIP[monthly investment plan]
미국에서 개발된 월부투자계획을 말한다. 이것은 매월 일정금액 또는 일정 주식이나 수익증권을...
-
MWC[membership wholesale club]
창고 형태의 점포를 갖춰 놓고 회원들만 상품을 살 수 있는 신업태 점포로 회원제 창고형 매...
-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여러개의 안테나로 데이터를 동시 송수신하여 전송 효율 향상시키는 기술
-
MSAW[minimum safe altitude warning system]
최저안전고도 경보시스템은 항공기가 정상고도 이하로 지상에 접근할 때 추락 위험을 경고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