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ILO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국제노동기구.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근로자의 지위향상을 꾀하려는 국제기구. 각국의 노동입법, 적정한 노동시간, 임금, 노동자의 보건, 위생 등에 관한 권고나 지도를 하고 국제노동기준을 제정, 가입국이 그것을 준수하도록 감독하며 노동자의 생활에 관한 조사연구를 한다. 1919년 베르사유 조약에 의해 국제연맹의 한 기관으로 제네바에서 창설되었으며, 1946년 12월 유엔 최초의 전문기관으로 발족하였다. 총회는 각 회원국에서 대표 4명(정부2, 노동자1, 사용자1)이 출석하는 3자 구성을 취하고 있으며, 연 1회 개최한다.

ILO가 가장 중시하고 있는 기본원칙은 ILO조약 제87호로 결사의 자유 및 단결권의 옹호에 관한 조약이다. 이것은 노동자와 사용자가 사전 인가를 받지 않고 단체를 설립할 수 있는 권리와 가입할 수 있는 권리로, 노동조합 결성의 자유를 인정하고 그 단결권을 보장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1991년 12월9일에 정식 가입하였다.

  • iframe[inline frame]

    하이퍼 텍스트 생성 언어(HTML) 문서에서 글 중의 임의의 위치에 또 다른 HTML 문서...

  • iUICC[lntergrated SIM or iSIM]

    iUICC는 가입자 인증과 요금 부과 등을 위해 개인정보를 저장한 소형 메모리 카드인 심(...

  • indexed loan

    연동금리대출. 대출원리금에 대한 화폐구매력의 감소를 보상하기 위하여 대출금리를 물가지수에 ...

  • ITU 전권회의[Plenipotentiary Conference]

    국제전기통신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