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EM 마크

[excellent machine mark]

국내 자본재산업 육성과 무역적자 해소를 위해 정부가실시하고 있는 우수품질 마크제도. 산업자원부는 EM 마크를 획득한 제품에 대해서는 정부산하의 기계공제조합이 하자보증을 해주도록 제도화했다. 즉 EM 마크 제품에 하자가 발생한 경우 제조업체가 이를 배상하고, 만약 이행하지 못할 때는 하자보증 사업기관인 기계공제조합이 배상한 뒤 제조업체에 구상권을 행사하게 된다. EM 마크 시행은 국내 개발 기술에 대한 공신력을 높이고 판로 개척의 역할뿐만 아니라 경쟁력 확보에도 큰 도움을 주고 있다.

  • EV-DO 리비전A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동기식 이동통신기술인 CDMA의 3세대 버전으로 2세대 기...

  • EIS[executive information system]

    중역정보시스템. 최고경영자를 위한 정보시스템으로서,그 목적을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범위로 제...

  • EBITDA

    기업이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현금창출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 이론적으로는 이자비용 및 법인...

  • e폐기물[electronic waste]

    PC·휴대전화 등의 전자 제품을 버릴 때 나오는 중금속 등의 쓰레기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