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EM 마크

[excellent machine mark]

국내 자본재산업 육성과 무역적자 해소를 위해 정부가실시하고 있는 우수품질 마크제도. 산업자원부는 EM 마크를 획득한 제품에 대해서는 정부산하의 기계공제조합이 하자보증을 해주도록 제도화했다. 즉 EM 마크 제품에 하자가 발생한 경우 제조업체가 이를 배상하고, 만약 이행하지 못할 때는 하자보증 사업기관인 기계공제조합이 배상한 뒤 제조업체에 구상권을 행사하게 된다. EM 마크 시행은 국내 개발 기술에 대한 공신력을 높이고 판로 개척의 역할뿐만 아니라 경쟁력 확보에도 큰 도움을 주고 있다.

  • e심[eSIM]

    스마트폰 메인보드에 내장된 심(SIM)으로 `내장형 가입자 식별모듈'이라고도 한다. 20...

  • EU택소노미[Green Taxonomy, EU Taxonomy]

    어떤 에너지원이 친환경·녹색 사업인지 인지 아닌지를 알려주는 기준으로 유럽연합(EU)의 ...

  • EGR 밸브[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흡기다기관으로 재순환하는 배기가스 양을 제어하는 밸브

  • EV/EBITDA

    기업의 총가치로 기업매수자가 기업을 매수할 때 지불해야 하는 금액 주식의 시가총액과 순부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