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R
[advance decline ratio, ADR]일반적으로 종합주가지수는 가격의 변동을 나타내고 등락주선의 변동은 등락종목수의 변동을 나타낸다. 등락비율은 이 2가지를 대비함으로써 시세가 어느 정도 강력한 것인가를 알고자 하는 것이다. 등락주선의 결점은 이것이 시세의 상승국면에서는 특히 투자대상이 집중화하는 경향이 있고 또 권리락, 배당락 등에도 수정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런 결점의 보완으로 등락종목의 비율로써 시장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 등락비율이다. 등락비율은 천정권을 예측하는 기능보다 저가권을 발견하는 기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1) 작성법 : 일정 기간 동안 매일의 상승 종목수를 하락 종목수로 나누어 백분비를 구하고 그것을 이동평균하여 도표화한다.
(2) 등락비율의 해석 : 등락비율이 100%라면 상승 종목수와 하락 종목수가 같다는 소리이고 110%라면 상승종목이 10% 더 많다는 뜻이다. 등락비율의 상승은 시장인기의 확대를 뜻하고 등락비율의 하락은 시장인기의 저하를 뜻한다.
① 등락비율이 120% 이상일 때는 경계를 요하는 시점이고 시세는 그 후 반락하는 경우가 많다.
② 등락비율이 70% 이하일 때는 시세는 바닥권을 의미하고 시장은 그 후 상승으로 전환한다.
③ 등락비율의 피크는 주가의 피크보다 선행하는 경우가 많다.
등락주선은 시장의 내부세력을 측정하는 데 가장 널리 이용되는 중요한 분석수단으로 주가가 전체적으로 상승추세에 있는가 아니면 하락추세에 있는가를 판단하는 데 있어 다른 어떤 지표보다 먼저 나타나게 된다. 이는 전일의 종가에 비해 오른 종목수에서 내린 종목수를 뺀 것을 매일 누계해서 그것을 선으로 이어서 작성한 것이다. 이 등락주선과 주가와는 다음의 관계가 있다.
첫째, 종합주가지수가 상승하고 있는 중이라도 등락주선이 하락하고 있다면 시장은 곧 하락세로 전환하게 된다. 둘째, 종합주가지수가 하락하고 있을지라도 등락주선이 상승하고 있다면 시장은 곧 상승세로 전환하게 된다. 그러나 등락주선으로 상승 또는 하락의 정확한 타이밍을 맞출 수는 없고 단지 가까운 장래의 상승 또는 하락을 예상할 수 있다.
-
AP[Access Point]
컴퓨터에 달려 있는 무선랜카드와 연결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안테나 겸 접속장치로 흔히 ''공...
-
APEC 무역투자위원회[APEC Committee on Trade and Investment]
APEC 회원국 간의 상품 및 서비스의 원활한 교역과 자유로운 투자환경 조성 등을 위해 필...
-
ATV[All Terrain Vehicle, ATV]
사륜형 이륜자동차. 이륜자동차(오토바이)의 차체구조를 변형시킨 사륜형으로 산악지·유원지 등...
-
AI 워싱[AI washing]
AI 워싱(AI Washing)은 실제 AI(인공지능)와 별 관련이 없거나 관련성이 적은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