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한국은행

[Bank of Korea]

우리나라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은 1950년 6월 한국은행법에 의해 설립되었다. 한국은행의 주목적은 국민경제 발전을 위한 통화가치의 안정과 은행신용제도의 건전화와 기능향상에 의한 경제발전과 국가자원의 유효한 이용을 도모하는 데 있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한국은행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먼저 통화량의 조절 및 자금의 효율적 분배기능을 들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는 금융기관에 대한 대출금리를 조정하거나 대출의 한도를 설정·변경하는 재할인정책, 금융기관의 지급준비율을 변경하는 지급준비율정책 및 공개시장에서 채권을 매입 또는 매각하는 공개시장조작정책 등의 수단을 사용한다. 그밖에 금융기관여수신 최고금리의 결정, 통화안정계정의 운용 및 여신한도규제 등 직접통제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금융기관 신설 등에 대한 검사, 금융분쟁의 조정 등의 업무를 취급한다. 그밖의 주요 기능으로는 은행권의 발행, 정부와의 여수신 및 정부위임 업무의 취급, 외국환의 관리 및 외국환 업무(정부의 위임업무에 한정) 등을 들 수 있다.

  • 환경경제효율성[eco-efficiency]

    경제적효율성(economic efficiency)과 생태적효율성(ecological eff...

  • 호들러[hodler]

    암호화폐 장기투자자를 말한다. (암호화폐를) `보유한다'라는 뜻의 영어단어인 hold...

  • 하이드로 포밍[hydro-forming]

    복잡한 모양의 자동차 부품을 만들 때 여러 형태의 프레스로 따로 가공한 후 용접하지 않고 ...

  •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

    정부가 내수 활성화를 위해 2015년 10월 1일부터 14일까지 총 2주간 개최하는 국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