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터 이론
주식의 투자가치에 영향을 주는 재료인 성장 가능성, 배당정책, 수익성, 증자와감자, 주가상승 등의 재료별 필터를 채택하여 주식을 사고파는 이론. 일정 기간 동안 주가의최저점에서 일정 비율 올랐을 때 매입하고 일정 비율 내렸을 때 매각하는 투자이론이다. 예를 들어 어떤 주식의 매매를 결정하는 변동비율(필터)을 8%로 정했다면 그 주식이 최저점에서 8% 올랐을 때 매입, 최고점에서 8% 내리면 매각하는 식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필터크기의 객관화, 최고점과 최저점의 파악 등에서 문제가 있는 이론이다.
-
포합주식[抱合 株式]
합병 법인(존속법인)이 합병 전에 보유하고 있던 피합병 법인(소멸법인) 주식. 합병 법인은...
-
표적항암제[targeted cancer drugs]
투여 후 정상세포까지 공격하는 기존의 항암제와 달리 발암 과정의 특정 표적인자만 선택적으로...
-
팩티브
만성 기관지염과 폐렴 등 호흡기 질환 환자들에게 사용되는 퀴놀론계 항균제로 그동안 널리 사...
-
폴리머 유기발광 다이오드[Polyme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OLE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일종으로 유리 및 플라스틱 기판에 놓인 폴리머 물질로 구성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