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필터 이론

 

주식의 투자가치에 영향을 주는 재료인 성장 가능성, 배당정책, 수익성, 증자와감자, 주가상승 등의 재료별 필터를 채택하여 주식을 사고파는 이론. 일정 기간 동안 주가의최저점에서 일정 비율 올랐을 때 매입하고 일정 비율 내렸을 때 매각하는 투자이론이다. 예를 들어 어떤 주식의 매매를 결정하는 변동비율(필터)을 8%로 정했다면 그 주식이 최저점에서 8% 올랐을 때 매입, 최고점에서 8% 내리면 매각하는 식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필터크기의 객관화, 최고점과 최저점의 파악 등에서 문제가 있는 이론이다.

  • 퓨전메모리[Fusion Memory]

    D램, 플래시 메모리 등 다양한 형태의 메모리와 비메모리를 하나의 칩에 결합시킨 것. D램...

  • 핑크 슬립[pink slip]

    미국에서 해고통지서를 일컫는 말. 핑크 슬립은 미국 자동차회사 포드에서 유래했다. 컨베이어...

  • 팝콘 브레인[popcorn brain]

    현대인들이 팝콘처럼 튀어 오르는 강한 자극에는 빠르게 반응하지만 작은 자극에는 반응하지 않...

  • 플립 칩[flip chip]

    메모리 칩을 기판에 탑재할 때 금속선(와이어)를 이용하는 기존의 방식대신 범프 볼(Bum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