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플래시 메모리

[flash memory]

전원을 끊어도 데이터가 없어지지 않는 메모리로 PC의 소형화 등에 불가결한 차세대 반도체소자. PC메모리카드국제협회(PCMCIA), 일본전자산업개발협회(JEIDDA) 등 PC 메모리카드 표준화기관들이 협의에 의해 등장한 규격이다. 정보입력 중에 전원을 꺼도 입력된 정보가 지워지지 않는 비활성 메모리칩일 뿐 아니라 데이터를 자유롭게 입력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즉 플래시 메모리는 전원이 끊겨도 저장된 데이터를 보존하는 롬(ROM)의 장점과 정보의 입출력이 자유로운 램(RAM)의 장점을 모두 지니고 있다. 디지털 휴대전화, 디지털 카메라, 랜스위치, 노트북 컴퓨터의 PC 카드, 디지털 셋톱박스, 내장 컨트롤러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들에 사용된다. 2002년 8월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1기가(Giga)급 데이터 저장형(NAND) 플래시메모리 양산을 시작했다.

  •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ABX3 화학식을 갖는 결정구조로 부도체·반도체·도체의 성질은 물론 초전도 현상까지 보이는...

  • 피용자보수

    한 나라의 경제가 1년 동안 생산한 재화와 용역은 소득이라는 형태로 국민경제 각 구성요소에...

  • 피시플레이션[fishflation]

    수산물과 인플레이션의 합성어로, 수산물 가격 상승이 전반적인 물가 상승을 야기하는 현상을 ...

  • 프로보노[Pro Bono]

    ''공공의 이익을 위한 무료봉사''라는 뜻으로, 라틴 문구인 ''공익을 위하여(pro 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