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표지어음

 

금융기관들이 기업이 발행한 어음을 할인해 사들인뒤 이 어음을 근거로 은행을 지급인으로 자체 어음을 발행해 일반투자자에게 파는 어음이다. 기업이 발행하는 상업어음무역어음은 발행기업의 사정에 따라 발행규모와 만기가 각양각색이기 때문에 은행, 저축은행 등이 이 어음을 되팔아 자금을 회수하는 데는 어려움이 크다. 그래서 일종의 표준화된 어음을 다시 발행해 판매하기 좋게 만든 것이다. 예금자보호도 되며 최소 저축금액도 100만원이상으로 부담이 없다. 또한 저축기간도 다양하게 정할 수 있다. 단, 이 상품은 할인매출만 된다. 금리도 단기상품으로서는 최고 수준인 경우가 많다. 표지어음이란 이름도 몇 가지 어음을 근거로 해서 대표적인 어음(표지)를 새로 만든다는 뜻에서 붙여진 것이다. 이 제도는 원래 일본에서 금융기관간에 채권을 유동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입됐었다.

  • 펜트업 효과[pent-up effect]

    억눌렸던 수요가 급속도로 살아나는 현상으로, 외부의 영향으로 수요가 억제됐다가 그 요인이 ...

  • 폴리곤[Polygon]

    3차원 그래픽에서 입체적인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기본 단위로 사용하는 정다각형의 면을 말...

  • 페그제[peg system, pegged exchange rate]

    자국 통화의 환율을 기축통화인 달러 등에 고정시키는 환율 제도. 페그(peg)는 못이나 말...

  • 평균임금

    평균임금이란 퇴직 등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개월간 근로자에 대하여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