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통화승수

[money multiplier]

총통화량을 의미하는 광의통화(M2)를 한국은행이 공급하는 본원통화(고성능 화폐: high-powered money)로 나눈 수치다. 즉, 통화승수는 한국은행이 본원통화 1원을 공급했을 때 이의 몇 배에 달하는 통화를 창출하였는가를 나타내주는 지표로 보면된다.

통화승수는 현금통화비율과 지급준비율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현금통화비율은 단기적으로는 안정적이라 할 수 있으며 지급준비율은 중앙은행에 의하여 정책적으로 결정된다. 현금 보유 성향과 지급준비율이 작을수록 통화승수는 커진다. 따라서 통화승수도 단기적으로 안정적이거나 예측이 가능하므로 중앙은행은 본원통화 공급규모를 조절함으로써 전체 통화량 수준을 간접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통화승수가 하락한다는 것은 경제주체의 현금 보유 성향이 높아지고 신용창출은 둔화된다는 의미다. 그만큼 돈이 돌지 않는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 특별교부세

    중앙정부가 지방자치단체에 나눠주는 지방교부세 중 일정한 조건을 붙이거나 용도를 제한해 교부...

  • 트라이 라디오[tri-radio]

    3개의 안테나를 통해 동시에 송수신 할 수 있는 다중입출력(MIMO) 기술을 적용한 무선 ...

  • 특수고용직

    레미콘 기사, 학습지 교사, 골프장 캐디 등을 말한다. 이들은 근로자인지,자영업자인지 구분...

  • 투자자 숙려제도

    ELS난 ELF와 같은 고 위험성의 파생결합증권 청약후 대상투자자가 상품구조 및 위험 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