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통화승수

[money multiplier]

총통화량을 의미하는 광의통화(M2)를 한국은행이 공급하는 본원통화(고성능 화폐: high-powered money)로 나눈 수치다. 즉, 통화승수는 한국은행이 본원통화 1원을 공급했을 때 이의 몇 배에 달하는 통화를 창출하였는가를 나타내주는 지표로 보면된다.

통화승수는 현금통화비율과 지급준비율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현금통화비율은 단기적으로는 안정적이라 할 수 있으며 지급준비율은 중앙은행에 의하여 정책적으로 결정된다. 현금 보유 성향과 지급준비율이 작을수록 통화승수는 커진다. 따라서 통화승수도 단기적으로 안정적이거나 예측이 가능하므로 중앙은행은 본원통화 공급규모를 조절함으로써 전체 통화량 수준을 간접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통화승수가 하락한다는 것은 경제주체의 현금 보유 성향이 높아지고 신용창출은 둔화된다는 의미다. 그만큼 돈이 돌지 않는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 테마섹[Temasek, Taemasek Holdings]

    싱가포르 정부가 100% 지분을 갖고 있는 국영 투자회사로 1974년 설립되었다. 테마...

  • 트리플 E[Triple E]

    운송원가를 절감하고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선형. 트리플 E란 “규모의 경제 (econo...

  • 턴키공사

    건설사가 제출한 기본설계서에 대한 평가와 입찰금액을 점수로 환산,실시설계 적격자를 선정하는...

  • 특별교부세

    중앙정부가 지방자치단체에 나눠주는 지방교부세 중 일정한 조건을 붙이거나 용도를 제한해 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