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총고정자본형성

[gross fixed capital formation]

기업에서는 지속적인 생산능력을 유지하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노후설비를 새로운 설비로 대체하거나 신규사업에의 진출을 위해 공장도 짓고 기계도 구입하는데, 이러한 경제활동은 당해연도의 이익만을 위한 것이 아니고 미래의 지속적 수입 보장 등 장기적인 안목에서 이루어진다. 이렇게 여러 회계연도에 걸쳐 생산에 이용되는 재화를 자본재라고 하며, 생산주체에 의한 자본재구입을 총고정자본형성이라 한다. 총고정자본형성은 산업, 정부서비스생산자 및 민간비영리서비스생산자가 고정자산을 추가하는 데 따른 지출액을 의미하므로 토지나 중고품의 구입은 제외되고 고정자산을 구입할 때 상품가격과 함께 부담한 설치비용이나 취득세 등록세 등의 부대비용은 총고정자본형성에 포함된다.

  • 친디아[Chindia]

    중국 (China)와 인도 (India)의 합성어. 영국의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친디...

  • 추곡수매제도

    추곡의 수급조절을 통해 가격을 안정시키고 농가소득 보장 및 소비자 가계보호를 위해 정부가 ...

  • 채권수익률[bond yield]

    채권 수익률은 예금 이자율과 같은 개념으로 크게 △발행수익률 △유통수익률로 나눠볼 수 있다...

  • 천안문 사태

    정치개혁을 주장하던 후야오방 총서기의 사망을 계기로 촉발된 대학생과 시민의 정치개혁·민주화...